•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문학과 프로문학의 이름으로 -식민지시기 루쉰 수용과 ‘중국문학’의 위치 (In the name of World Literature and Proletarian Literature : Perception of Lu Xun in Colonial Korea and ‘Chinese Literatur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2.02
32P 미리보기
세계문학과 프로문학의 이름으로 -식민지시기 루쉰 수용과 ‘중국문학’의 위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4권 / 233 ~ 264페이지
    · 저자명 : 이용범

    초록

    이 논문은 19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루쉰을 중심으로 한 중국현대문학 수용 과정에서 드러난 ‘근대 한국인의 중국인식’ 문제를 다루었다. 식민지시기 한국의 루쉰수용은 세계문학이나 프로문학이라는 매개항의 영향력이 강했던 특징이 있었다. 해외문학파가 전유하고 있던 세계문학의 권위는 당대 가장 일반적인 문학에 대한 인식이기도 했다. 식민지 조선에서 루쉰은 작품론보다는 로맹 롤랑의 ‘칭찬’에 의거한 세계문학의 일원으로서 반복되어 호출되었다. 1920년대 후반 중국 혁명문학 논쟁과정에서 프로문학계열의 첸싱춘(錢杏邨)이 루쉰을 시대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는 존재로 선언한 평론 「죽어버린 아Q시대(死去了的阿Q時代)」은 곧바로 중·일 프로문학 네트워크를 타고 동아시아 전체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1930년 전후, 식민지 조선에 루쉰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하던 시점의 동아시아 루쉰론의 대세는 「죽어버린 아Q시대」의 이미지였다. 식민지 조선에 이러한 관점을 수입한 것이 경성제국대학 지나문학과 교수 가라시마 다케시(辛島驍)였다. 경성제대 지나문학과는 아카데미즘의 권위를 지니고 있었지만, 가라시마 다케시, 김태준, 이명선으로 이어지는 루쉰론은 정작 루쉰 작품에 대한 직접적인 독서가 부족했던 치명적인 약점이 존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제도의 권위는 민간학술사회의 지식인들에게는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김광주의 정래동의 ‘동로자’ 네트워크는 현지경험과 중국어 독해능력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중국문학의 영역을 전유하고자 했다. 김광주에게는 중국문학에 대한 이해와 소개와 더불어, 대문자 문학이 향유하는 서구적 권위에 대한 선망이 노출되고 있었다. 식민지 조선의 가장 본격적인 루쉰론은 정래동에 의해 쓰여졌다. 정래동은 식민지 조선을 풍미하던 「죽어버린 아Q시대」를 직접적으로 반박하는 한편, 당시 동아시아에서 가장 이른 시기 『들풀』의 진가를 알아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세계문학, 프로문학, 아카데미즘의 권위 밖에서 오히려 중국문학 연구의 새로운 경지가 열리기 시작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dealt with the problem of ‘Modern Korean Perception of China’ reveal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modern Chinese literature centered on Lu Xun in colonial Korea in the 1930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acceptance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is that the existence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which has an affinity with Korean literature, was concealed. Korea’s acceptance of Lu Xu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characterized by strong influence of mediation terms such as World Literature or Proletarian Literature. The authority of World Literature, which was appropriated by overseas literary groups, was also the recognition of the most general literature of the time. In colonial Korea, Lu Xun was repeatedly called out as a member of World Literature based on Romain Roland’s ‘complmentary’ rather than analysis on his work. In the course of the Chi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debate in the late 1920s, Qian Xing Cun(錢杏邨, 1900-1977), a left-wing literary critic, declared Lu Xun as an existence that could not keep up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This radical ‘death sentence’ was quickly spread throughout East Asia via the Chinese-Japanese Proletarian Literature network. Around 1930, when Lu Xun began to be introduced in earnest to colonial Korea, the mainstream of East Asian criticism on Lu Xun was the image of the “The Bygone Era of Ah Q” by Qian Xing Cun. It was Karashima Takeshi(辛島驍, 1903-1967),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hinese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who brought this perspective to colonial Korea. Although the Department of Chinese Literature at Keijo University had the authority of academia, their understanding of Lu Xun, which was followed by Takeshi Karashima, Kim Tae-Joon(金台俊, 1905-1949), and Lee Myeongseon(李明善, 1914-1950), had a fatal weakness in that it lacked direct reading of Lu Xun’s works. Nevertheless, the authority of the university system was the object of envy of intellectuals in the private academic society. Kim Gwang-ju(金光洲, 1910-1973) and Jeong Rae-dong(丁來東, 1903-1985)’s ‘companion’ network tried to appropriate the realm of Chinese literature in earnest based on local experience and Chinese reading ability.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and introduction to Chinese literature, Kim Kwang-ju was exposed to the envy of Western authority enjoyed by World Literature. The most authentic criticism on Lu Xun of colonial Korea was written by Jeong Rae-dong. Jeong directly refuted the “The Bygone Era of Ah Q” that dominated colonial Korea, while showing the true value of “Wild Grass,” the earliest period in East Asia at the time. Outside the authority of World Literature, Proletarian literature, and academia, a new level of Chinese literature research of Korea began to op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