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바루 시자의 건축에 나타난 현상학적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varo Siza’s Design)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4.06
8P 미리보기
알바루 시자의 건축에 나타난 현상학적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3권 / 3호 / 75 ~ 82페이지
    · 저자명 : 김준성, 정태용

    초록

    본 연구는 ‘알바루 시자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라는 전제 하에, 그 특성의 구체적 내용, 배경 및 전개상황을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알바루 시자의 건축이 의도하는 바, 그리고 그 구체적인 방법과 효과를 고찰하여 시자의 건축이 갖고 있는 특성이 현상학적임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알바루 시자의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작업 모두를 대상으로 하나 그의 작업이 장기간에 걸쳐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므로,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연구 편의상 전시시설에 중심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우선 현상학과 관련된 건축 이론가들과 특히 현상학을 기반으로 작업하는 건축가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그들의 주장 내용을 정리하는데, 이는 시자 건축이 보여주는 현상학적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위함이다. 문헌 조사를 통하여 건축가의 사고와 작업에 관련된 인문적 사항과 선행 작업을 분석하며 이를 통하여 그의 건축에 영향을 끼친 배경을 살펴본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상학적 건축에 대한 시자의 사고를 정리하기 위해 우선 현상학적 건축과 관련된 그의 저작 및 대화 내용을 살펴보고, 이들의 실제 작업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또한 초기부터 현재까지 알바루 시자의 다양한 작품을 분석틀의 항목에 의거하여 검토함으로써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의 방법을 발전시켜왔는지 고찰한다. 이후 실제 건물에 나타난 현상학적 특성을 건축가의 디자인 의도와 건물의 컨텍스트 등을 고려하여 살펴본다. 실제 작업에 나타난 현상학적 건축 특성은 도면과 사진자료를 사용하고 건물의 형태 및 공간구성에 주의하여 알아본다. 이들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현상학적 접근방식의 내용과 변화 추이 그리고 그 이유를 고찰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좀 더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여, 시자의 건축에 있어서 현상학적 건축특성이 갖는 가치와 의의 및 한계에 대해 고찰하도록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알바루 시자가 보여주는 현상학적 건축 특성은 포르투갈의 지역 건축가라는 개인적 배경 하에 건축의 본질을 추구한 접근방식이 결합된 결과이다. 둘째, 대지를 건축의 출발점으로 삼아, 대지의 장소성과 건축의 존재를 강조하는 시자의 건축은, 장소를 중심으로 거주의 의미를 강조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주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셋째, 시자는 근대건축의 대표적 특징인 백색의 평활한 면이 만들어내는 절제미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지만, 초기의 정형적 구성을 벗어나 곡면과 예각 등을 사용한 역동적이고 극적인 공간 체험을 제공한다. 넷째, 시자의 미술관 건축은 시자 특유의 현상학적 건축특성을 잘 보여주는데, 이는 다양한 구성의 이중천장, 곡면의 내벽 및 다양한 형식의 개구부를 통한 적극적인 자연광 유입을 통해 공간과 빛이 조합된 결과로서, 다양하고 극적인 공간 체험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in Alvaro Siza's works through his design intention, methods and results. As a Portuguese architect, his personal and local background as well as pursuing the essence of architecture mad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The emphasis of the placeness of site and the existence of architecture has close relationship with Heidegger’s concept of dwelling and the role of architecture. Although Siza has maintained white plat plane of interior space which is one of features of modern architecture, he provides dramatic and dynamic experiences of space using curved and acute angle of plane in his latter part of works. Another his phenomenological nature of buildings is a striking display of space and light which is remarkable especially in his museum designs. He made this character in adopting various shapes of double ceilings, openings and their combination with natural light which he always emphasizes. As a result, Alvaro Siza’s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comes not from clear architectural or philosophical theory but from continuous practice based on pursuing the essence of archite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