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루쉰(魯迅)의 초상 -1960~1970년대 냉전문화의 중국 심상지리- (The Portrait of Lu Hsun - Chinese Imaginative Geography Amid the Culture of the Cold War in the 1960s and 1970s-)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3.05
53P 미리보기
루쉰(魯迅)의 초상 -1960~1970년대 냉전문화의 중국 심상지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14호 / 51 ~ 103페이지
    · 저자명 : 정종현

    초록

    이 연구는 1960~70년대 냉전기 한국에서의 루쉰 독서사를 재구한 것이다. 루쉰은 사회주의 ‘중공’성립 이전에 죽었음에도 마오쩌둥의 고평을 통해 ‘자유중국/중공’이라는 냉전의 사상지리(ideological geography)에서 ‘중공’에 귀속되었다. 냉전기 한국에서는 루쉰의 좌파적 형상은 유폐되고 우파적 형상이 극대화되어 소개되었다. 1960~70년대 한국의 냉전문화 속에서 루쉰은 그의 경력의 초창기에 초점이 맞추어지며 휴머니즘, 계몽주의자 나아가 반공주의자로 변형되었다. 본고에서는 교과서, 인문교양, 루쉰선집, 세계문학전집 속에서 루쉰이 배치되는 각각의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냉전기 한국에서 그려진 루쉰의 초상이 우파적 형상이 우세한 것이었지만, 루쉰의 형상 자체가 내장하고 있었던 진보적이고 사회주의적인 면모를 변형시켜 저항적이고 진보적인 사상의 거점으로 활용하는 흐름이 존재했다는 점을 밝혔다. 이병주의 『지리산』의 분석을 통해서 공산주의를 비판하면서도 휴머니즘에 기반한 혁명가로서의 루쉰을 작중 인물에 투사함으로써 레드 콤플렉스의 임계 지점에서 한국사회의 금기였던 빨치산의 문제를 전면화할 수 있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1930년대의 중국과 1960~70년대의 한국을 대위법적으로 배치하면서 한국의 루쉰이고자 했던 리영희의 사상적 모색이 이 시기 루쉰 수용의 한 극점이었음을 확인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reconstitution of Lu Hsun’s reading of Korean history, especially during the Cold War in the 1960s and1970s. Lu Hsun reverted to becoming a ‘Chinese Communist’, when Mao commented on the ideological geography of the Cold War in the Republic of China/ Chinese Communist Party, though Hsun di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socialism ‘Chinese Communist Party’. In Korea, at the time of the Cold War, the left-leaning idea of Lu Hsun was repressed, but his right-wing one was made much of and promoted. In the Korean culture of the Cold War, in the 1960s and 70s, Lu Hsun was transformed into a humanist, illuminati, and even further, an anticommunist, by focusing on the initial stage of his career. This article illuminated the fact that there was a movement of utilizing it as the base for resistant and progressive ideas, by changing the progressive and socialistic aspects of his identity, by analysing the way he was portrayed in textbooks, liberal art, Lu Hsun’s collection, and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 even though Hsun’s overall views were characteristic of predominantly right-wing. In the analysis of Jirisan, Lee Byung-joo revealed that the issue of North Korean partisanship, a taboo of Korean society, came to fore in the critical point of the Red Complex, by representing Lu Hsun as a revolutionary and humanistic character, though Hsun himself criticized Communism. Finall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earch for ideological innovation by Lee Young-hee, who tried to be a Korean Lu Hsun, was a crux in the acceptance of Lu Hsun at that time, while describing China in the 1930s with Korea in the 1960-70s in the way of counter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