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촉석루 제영시의 역사적 전개와 주제 양상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me Aspect of Chokseongnu’s Pavilion Poet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9.06
39P 미리보기
촉석루 제영시의 역사적 전개와 주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62호 / 397 ~ 435페이지
    · 저자명 : 하강진

    초록

    본고는 촉석루 제영시의 역사적 전개와 작품의 내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의 재인식과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시문의 총량 파악은 무엇보다 절실하며, 제영시에 반영된 다양한 주제 의식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방대한 문헌을 두루 뒤져 촉석루 제영시 전모를 가늠할 수 있었다. 이 집성 자료를 바탕으로 작가층의 성격, 작품의 형식과 내용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촉석루 제영시의 작가는 710명, 작품 수는 884제 1,028수에 달했다. 이는 잠정적이기는 하나 현재까지 전국의 단일 누정으로서는 최다 수준이다. 그리고 작가는 경남 출신이 가장 많아 전체 49%를 넘고, 그중에서도 진주를 비롯해 서부 경남 출신이 약 87%를 차지했다. 또 작가는 유람객이 제일 많고, 고을 통치와 관련된 관리들의 작품도 적지 않았다. 작가들 중에는 스승과 제자, 혈연관계가 있는 문인들이 많은 점도 특징이다.
    둘째, 창작 시기를 알 수 있는 작품은 893수로 전체 약 87%에 달했다. 이중 임진왜란 이전의 작품은 133수로 비교적 적은 분포를 보였다. 작품의 약 33%인 335수가 1900년 이후에 창작되었는데, 이는 19세기 후반 이후로 출생한 경남지역 문인들의 작품이 대거 양산된 결과였다.
    셋째, 촉석루 시 중 7언시가 93%로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다. 그중에서도 7언율시가 약 75%에 달해 대표적인 양식으로 향유되었음을 알았다. 이는 원운의 권위를 활용하는 제영시의 일반적 창작 경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선편을 잡은 정을보의 시는 조선전기까지만 원운으로서 기능했다. 조선후기에는 신유한의 시를 차운한 이가 40%일 정도로 거대한 흐름을 이루었다. 또한 임란 사적과 유관한 시어가 관습적으로 활용되었는데, 이는 다른 누정시와 분명히 구별되는 지점이라 하겠다.
    넷째, 촉석루 시의 주제는 진주의 문화경관에 대한 상찬, 임진왜란의 대응과 구국 의지, 순국 영웅의 기억과 내면 성찰, 유람의 진정성과 시대의식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이후로는 순국 영웅을 호출해 내면을 성찰하거나 강개한 충의 정신을 주제로 내세우는 창작 경향이 지배했다. 이에 따라 빼어난 경관만을 부각하는 시는 자취를 거의 감추었고, 촉석루 유람이나 작시 행위를 올바른 시대의식을 체득하는 계기로 삼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제강점기의 반민족적 유람 풍조를 시를 통해 준열히 비판하기도 했다.
    촉석루 제영시를 대상으로 진행한 통시적이고도 실증적인 본 연구가 누정문학의 특성을 구명함은 물론 지역문학사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나아가 한국문학사를 기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okseongnu’s pavilion(矗石樓) poetry an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erms of re-recognition of tradition and creative succession, identifying the total amount of poetry is the most critical.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consciousness of various themes reflected pavilion poetry.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 group,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the works ar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irst, there were 710 writers and 1028 works of 884 poem titles in Chokseongnu’s pavilion. This is tentative but it is the country’s largest size as a single pavilion to date. The largest number of the writers, over 49% of the total, were from Gyeongnam Province, and among them, about 87% were from western Gyeongnam Province, including Jinju. The biggest number of the writers were tourists, and many of the works were by officials involved in the governance of the city. Moreover, there were a number of writers with family members or colleagues who were writers.
    Second, approximately 87% of the total number of works, or about 893 poems, showed the time of creation. The number of works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133, which was a relatively small distribution. Approximately 33% of the works, or 335 poems, were created after 1900, which was the result of mass production of works by writers from Gyeongnam Province who were born after the late 19th century.
    Third, among Chokseognu poetry,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 number of seven-character poems, which accounted for 93%. Among them,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 poems reached about 75%, indicating they were commonly enjoyed by many people. This was derived from the general creative tendency of rhyme-borrowing poems, which utilized the authority from the original works. Jeong Eulbo’s poem in the previous section served as the original work only until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period, 40% of the people borrowed rhymes from Shin Yuhan’s works, which proves it was a big trend. In addition, poetic dictions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sites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have been used customarily, which was clearly a different point from other palace-pavilion poems.
    Fourth, Chokseongnu poetry's themes could be divided into into four types: praise in the cultural landscape of Jinju, respons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will for national salvation, the memories and internal reflections of patriotic heroes, the real purpose of tourism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a trend of creation with a theme that calls on patriotic heroes to have internal reflections or to promote the spirit of strong loyalty. As a result, many poems highlighting only outstanding scenery have disappeared, and it served as an occasion to achieve the correct consciousness of the times through Chokseongu tourism or writing poems. In this context, anti-national entertain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strongly criticized using poems.
    I hope that this diachronic and positivistic study on Chokseongu’s pavilion will help not only enshrine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literature but als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world but also constitute various aspects of local literary history and further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