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양주 흥국사 萬歲樓房 연구 (The Study on the Manserubang of Heungguksa(temple) in Namyangju(provinc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0.06
33P 미리보기
남양주 흥국사 萬歲樓房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4호 / 237 ~ 269페이지
    · 저자명 : 손신영

    초록

    경기도 남양주 흥국사의 만세루방은 그동안 특별한 명칭 없이 ‘대방’으로 불리면서 염불당혹은 왕실여인의 기도처로 창건되었다고 여져겨 왔다. 그러나 1830년 누자리에 들어서면서 ‘만세루방’으로 창건되었다는 사실과, 당시 대리청정하던 효명세자의 허락과 지원으로 창건되었다는 사실, 최근 공연예술학계의 연구성과 등으로써 만세루방의 창건 당시 기능과 그 의미를 새롭게 추론할 수 있게 되었다.
    흥국사는 조선후기 왕조의 중흥조 덕흥대원군의 墓寺로 중창된 사찰인데 1830년, 덕흥대원군 탄생 3백주년을 맞이하여 기념행사를 치르고자 하였다. 때마침 능행과 연향으로 왕실의귄위를 회복하고자 하는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하면서 의례전용 공간인 연경당을 창건한 상태였다. 이에 흥국사에서는 대규모 야외법회(의식)을 계획하고 이를 위한 공간으로써 만세루방을 창건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정황은 <흥국사감로왕도>의 만세루전각과 참관하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 만세루방은 이때 1828년의 연경당 처럼 ┏┓자형 평면으로 지어진것이다.
    만세루방은 이후 소실되어 1878년 7칸이 증축되면서 현재처럼 H자형 건물이 되었다. 그결과 ┏┓자형이 전후대칭을 이뤄, 앞뒤마당에서 각기 재를 올릴 수 있었던 것 같다. 건축요소를 살펴보면 방·내루·6칸의 통칸·퇴칸 등의 공간 구성과 이익공·화반·운공의 결구가 19세기 후반이후 조성된 궁궐침전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구체적인 기록은 없지만 만세루방은왕실에서 금전뿐만 아니라 장인과 재목을 지원하고 건축형식도 허가해 주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만세루방이 염불당으로 쓰이게 된 것은 1940년 만일회 결성 때이다. 서울경기지역에서 만일회가 20세기 들어 성행하자 흥국사에서도 개최하고 싶었으나 재정적인 문제로 실행하지 못하다가 주지 박범화화상이 자신의 재산을 희사하면서 결성된 것이다. 이로써 대한제국멸망이후 뚜렷한 용도로 쓰이지 못했던 만세루방이 염불당으로 활용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흥국사만세루방은 19세기 조선왕실과 불교의 관계를 입증하는 사례로 재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Heungguksa(temple) located in Namyangju of Kyeongki province was rebuilt as Shrine of Deokheungdaewongun's grave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the restoration of the Royal House). This temple has been existing with the constant support of the Royal Family by the Korea empire period. The Royal House of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built a temple near the grave of the Royal family's people who couldn't be enshrined in the Royal Ancestor's shrine and The Royal House took care of and supported the temple. The Royal family had the priests of these temples concentrate all their energies on looking after the grave as they not only supported the temple but also exempted the monks from labor.
    Namyangju(province) Heungguksa(temple) is the representation of these kinds of temples, as it turned out, the records and remains of the Royal family's supports to these temples have been confirmed from Seonjo period to Gojong period. For instance the Buddhist paintings in Heungguksa temple are representative. However, we can only guess the construction of the Buddhist sanctum through the records because we couldn't concretely confirm the supports of the Royal family. However, It is worthy of notice that only the construction style of Heungguksa(temple) Manserubang is very similar to the house containing the king's bedchamber of the Royal palace. Though there were no any records that The Royal House supported wood or dispatched artisans, we could infer that the Royal House supported money and helped the material, human aids.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Manserubang was built as the house for prayer to Buddha and the prayer house for the Royal family's women for the first time. However If we think that there is the record that Manilyeombulhoe was established in Heungguksa(temple) in 1940 and there was Gongwonso was similar to Gyujeongso which controled temples in Joseon Dynasty in Heungguksa(temple) in 1792, These opinions could be improper.
    Moreover the function of Manserubang was different from the common Daebang in the Capital Area if we look at that there were a lot of similar respects in the king's bedchamber in the moulding of construction and in the buildings of the government offices which set up since the latter of 19 century.
    Besides most Manilyeombulhoe in the temples of the Capital area were organized in 20century,Manilyeombulhoe in Heungguksa(temple) was carried out in 1940 for the first time because of space, financial and geographical problems.
    In conclusion, If we consider the history of Heungguksa(temple) and the construction form of Manserubang, It is clear that Manserubang was built as the symbol of the temple which the Royal Family support and as the form of the authoritative constructions such as royal palace, government offices. Therefore this construction(the Manserubang of Heungguksa(temple)) was not built for Manilyeombulhoe and should be revaluated as the valuable case which prove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yal House of Joseon Dynasty and the temples in 19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