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산루기(艁山樓記)>와 화산루(畵山樓) - 글과 그림의 예술적 공유(共有) - ( and Hwasanru Pavilion – Artistic Sharing of Writing and Painting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12
32P 미리보기
&lt;조산루기(艁山樓記)&gt;와 화산루(畵山樓) - 글과 그림의 예술적 공유(共有)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73호 / 253 ~ 284페이지
    · 저자명 : Li, Chunji

    초록

    <조산루기(艁山樓記)>는 조선의 문인 이상적(李尙迪)이 1856(哲宗 7)년에 지은 글이다. 글에서 작가는 마음속으로 가꾸어 놓은 산루(山樓)와, 그 산루에서 노닐고 싶은 마음을 기록해 놓았다. 이상적은 記文을 청(淸)나라 문인화가 정조경(程祖慶)에게 보내 그림을 요구했다. 그러자 정조경은 <조산루도(艁山樓圖)>를 그려 보내주었고, 함께 항주(杭州)의 문인 오회진(吳懷珍)이 지은 <조선의 이군을 노래하다(朝鮮李君歌)>라는 제화시를 함께 보내왔다. 또한 청나라 화가 김희빈(金熙彬) 또한 이상적의 기문을 토대로 <조산루도>를 그려서 전해왔고, 이 두 그림은 현재 서울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고는 <조산루기>를 실마리로 해서 그와 嘉定 정조경, 정정로 父子와의 회화로 맺어진 교유관계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글로 인해 그림이 그려지고 다시 제화시로서 이어지는 패턴을 보이는 것이 이들 간에 화연(畵緣)과 교류의 특징이다. 필자는 이러한 특징을 가리켜 문예적 창작과 교류와 공유(共有)이라 했다. 이상적과 정조경 부자, 그리고 항주 문인 오회진, 김희빈 등과의 교류는 대체로 그림과 제화시의 틀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대체로 당시 청나라 화단에서 문인화(文人畵)로 유명한 송호화파(松壺畫派)와 루동화파(婁東畫派)의 화풍을 나타내는 화가이다. 이상적은 이들이 창작한 그림을 감상하고 제화시를 지으면서 화풍을 논하고 회화이론 감상이론을 서로 교류하였다. 이러한 교류를 통하여 조선의 화단에 처음으로 송호 화파의 그림이 들어왔으며, 그 화법이 그림과 함께 전파되었음은 이미 한정희, 김현권, 송희경 등의 논문에서 지적된 바 있다.
    한편, 이상적과 청 문사들과의 교류에서 그림과 화론 뿐 아니라 그림을 그리는 사람, 제화시를 짓는 사람에 대한 관심과 사랑과 우정을 논하는 부분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 교류는 글과 그림, 그리고 시라는 매체를 통하여 이루어지지만 이 매체가 지속되는 것은 이들 사이에 오갔던 학문과 성품, 관심과 사랑, 기대와 격려 등 인문정신이 아닐까 한다.

    영어초록

    <The Story of Josanru Pavilion> was written by a Joseon writer named Lee Sangjeok(李尙迪) in 1856 (year 7 of King Cheoljong). In this writing, the writer described an imaginary mountain pavilion and his urge to hang around in this pavilion. Lee Sangjeok sent a document to Cheng Zuqing(程祖慶), a literary painter of the Qing Dynasty, to request a painting. In response to the request, Cheng Zuqing painted and sent <The Painting of Josanru Pavilion(艁山樓圖)>, along with a poem called <Singing about Mr. Lee of Joseon(朝鮮李君歌)> composed by a literary person of Hangzhou named Wu Huaizhen(吳懷珍). In addition, a painter of Qing named Jin Xibin(金熙彬) also painted and sent <The Painting of Josanru Pavilion> based on the document of Sangjeok Lee. Gansong Art Museum in Seoul currently possesses these two paintings.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relationships formed by paintings with the family of Jiading Cheng Zuqing and Cheng Tinglu(程庭鷺) using <The Story of Josanru Pavilion> as a clue. A writing that leads to a painting and then to a poem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artistic studies they shared. The author refers to this characteristic as sharing of literary creation and exchange. Exchanges among Lee Sangjeok, the family of Cheng Zuqing, Wu Huaizhen of Hangzhou, and Jin Xibin mostly occurred within the frame of painting and poetry. These are painters of the Songhu School and Loudong School, which were famous styles of literary painting in the Qing Dynasty. Lee Sangjeok appreciated their paintings, composed poems, discussed painting styles and exchanged theories on painting and appreciation. Paintings of the Songho School wer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o the painting world of Joseon through such exchanges. Studies by Han Jeonghee, Kim Hyunkwon and Song Heekyeong already pointed out that the painting style was spread with paintings.
    On the one han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Lee Sangjeok and literary men of Qing not only discuss painting theories but also discuss attention, love and friendship of people who paint and write poems. Although literary exchanges take place though writings, painting and poems, what are kept within these medium are probably humanistic spirits such as learning, personality, attention, love, expectation and encouragement they sh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