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기영의 「농부 정도룡」과 쁘렘짠드의 「12월의 밤」에 나타난 농민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Peasants' Appearance in the Novels, 「Farmer Jung-doryoung」 by Lee Gi- Young and 「Pus Ki Raat」 by Premchan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3.02
33P 미리보기
이기영의 「농부 정도룡」과 쁘렘짠드의 「12월의 밤」에 나타난 농민상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60권 / 373 ~ 405페이지
    · 저자명 : Naushad Alam

    초록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한국 사실주의 작가 이기영과 인도 사실주의 작가 쁘렘짠드가 창작한 각각 「농부 정도룡」과「12월의 밤」(Pus Ki Raat)에 드러난 농민상을 비교 연구의 주제로 하였다. 20세기 초반부터 한국과 인도 소설의 장르는 변모하여 사실주의가 새롭게 도입되었다. 당대 양국은 외세 통치하에서 온갖 학정과 수탈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하층민에 해당한 농민들의 재정적 처지는 더욱 비참해졌다. 하지만 양국에서 식민자에 의하여 통제된 언론의 역할이 제한적이었기에 사실주의 작가들이 고발의 수단으로서 작품을 택하여 자국민의 아픔과 시련을 서술하였다. 당시 두 나라 문인들이 시대적 상황과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작품을 통하여 뭣을 고발하려 하였는가에 대해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다. 양국 식민지 시기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사실주의 문학 작품을 비교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아쉽게도 한국과 타국의 비교문학 연구의 비하여 한국과 인도 문학 비교 연구가 아직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이기영의 「농부 정도룡」과 쁘렘짠드의 「12월의 밤」(Pus Ki Raat) 의 내용을 미국 학파의 비교문학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연구하여 당시 인도와 한국 농민의 양상을 살펴봤다. 두 소설에서 존중한 삶을 영위하지 못한 채 생계를 꾸리고자 힘들게 일하는 농민이 묘사되었다. 이들 궁핍한 농민이 식민자에 의해 착취당했을 뿐더러 상류층의 탈을 쓴 지주와 고리대금업자 따위 자국민에 의하여, 또한 보다 더 심한 착취의 대상이 되었다. 두 소설은 유사성뿐만 아니라 판이한 점 또한 지닌다. 한국과 인도 식민지시기에 쓰인 이러한 사실주의 장르의 소설의 비교 연구는 양국의 농민들의 생활 모습과 그 유사한 점과 판이한 점을 드러내는 데에 있어 크게 이바지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세계 문학을 파악하는 매체가 되는 동시에 한국과 인도 비교 문학 연구자를 위하여 연구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s comparatively analysed the appearance of Peasants during colonial era of Korea and India in the novels 「December Night」 by Premchand, and 「Farmer Jung-doryong」 by Lee Gi- Young. From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 genre of Korean and Indian novels started showing transformations and Realism was newly introduced. Both the countries were subject to various tyranny and exploitation under foreign power's rule. Financial condition of the peasants, belonging to the lower class, particularly got more and more appalling. However, owing to the compromised role of media controlled by the colonizers in both the countries, writers had to describe the pain and suffering of the colonized through literary works by using realism.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find out as to how writer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scenario, understood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era and what they intended to reveal through their works. In order to fathom out phenomenon of the colonial period of both the countries, concerned literary works need to be analysed comparatively, however research on Korean Indian comparative literature is not being conducted a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same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American s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methodology is applied in the research to examine the image of Korean and Indian peasants. In both the novels, peasants, who are unable to lead a respectful life and do overwork helplessly for the sake of bread and butter, have been depicted. These poor peasants were not only suffering on account of exploitation by the colonizers but also, they were subject to severer exploitations by their own fellow countrymen that have used the mask of 'upper class'.This sort of Realism Novels, written during colonial era of Korea and India, contributes a lot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life led by the peasants of both, Korea and India . Also, the research paper is expected to serve as a medium to decipher World Literature and to serve as a comparative literature material for the researchers of Korea and India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