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재난 극복의 메타포: 蔡龍臣의 《三國志演義圖》 (Metaphor of Weathering Catastroph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Illustrations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by Chae Yongsin (1850-1941))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03
29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재난 극복의 메타포: 蔡龍臣의 《三國志演義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7권 / 297호 / 175 ~ 203페이지
    · 저자명 : 강수지

    초록

    삼국지연의도는 조선시대 관우 신앙과 『삼국지연의』의 유행 속에서 애호되었고 조선 말기에도 지속적으로 제작되었다. 관우 신앙이 왕실과 민간에서 모두 호응을 얻게 되어 삼국지연의도는 궁중 양식과 민화 양식의 양갈래로 제작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채용신의 삼국지연의도는 독특한 위치를 점한다. 채용신은 도화서 화원은 아니었지만 도화서 폐지 후 어진을 포함한 궁중 소용의 회화의 주문에 수응하였던 것으로 보아 이 작품도 왕실의 주문으로 제작되었을 것이다.
    채용신의 《삼국지연의도》는 지역 관왕묘에 걸렸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내용은 궁중 장식병풍 형식의 삼국지연의도와 공유 비율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현전하는 삼국지연의도를 기준으로 볼 때 여타 삼국지연의도에서 확인되지 않는 관우 관련 에피소드가 다수 그려졌다.
    그리고 양식적 측면에서, 궁중 장식용 병풍 형식의 삼국지연의도인 국립고궁박물관본과 서울 지역 관왕묘 소용 액자형식의 서울역사박물관본, 국립민속박물관본은 같은 양식과 내용으로 그려졌고, 비슷한 장면 구성과 채색이 도식화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채용신은 삼국지연의도에 그의 개성적 화풍으로 독창적인 양식과 구성을 창안해내었다.
    채용신은 일제강점기 국가적 위기가 극에 달하였던 상황에서 관왕묘에 장식되는 그림 속에 충절, 군신, 조선의 군주의 상징인 관우를 부각시키기 위해 삼국지연의도에 남다른 의미를 부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nd Guan Yu cults have prevail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1392-1910), bringing pictorial illustrations of the novel a great deal of popularity that has persisted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As the hero of the novel Guan Yu was deified and worshipped both in the royal court and by common people, the illustrations of the Romance saw a stylistic division into court and folk painting styles. In the course of its development, the Illustrations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by Chae Yongsin occupies a unique position: Chae was not a member of the Royal Academy of Painting, but he has worked for commissions from the court—King’s portraits, for example—even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institution (1896). Hi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court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is painting was produced at the request of the court.
    Presumably the Illustrations by Chae were housed in a local shrine dedicated to Guan Yu, known as Temple of King Guan; and yet its pictorial contents have much in common with those shared by a group of Illustrations of the Romance in folding-screen format made for the royal court. It is also notable that Chae’s Illustrations include a bundle of Guan-involved episodes that do not appear in other extant examples.
    The Illustrations disclose Chae’s individual style, distinctive mode, and peculiar composition. The painter’s creativity becomes apparent when his work is compared to other surviving illustrations of the Romance that show the recurrence of the same style and contents, similar scene organization, and formulaic color schemes. The conventionalization is observable from a court decorative folding screen (now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two works made for certain temples of King Guan in Seoul (framed and housed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n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Chae Yongsin imbued the illustrations of the Romance with another layer of significance. He seems to have aimed to highlight the symbolic role of Guan Yu as a manifestation of loyalty, the exemplary relationship of sovereign and subject, and even the monarch of Joseon, while producing the paining for a local temple at a time when the national crisis reached its catastrophic apogee over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