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遺事』 「皇龍寺丈六」條의 造像 과정 검토 (Revie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ix-foot statue of Buddha, Hwangryongsa from Samguk yus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02
34P 미리보기
『三國遺事』 「皇龍寺丈六」條의 造像 과정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43권 / 33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초록

    6세기 신라사에는 불교의 공인부터 시작하여 신라 최대 사찰인 황룡사를 건립하고, 장륙의 거대불을 조성하는 등 불교 관련 기록들이 자주 보인다. 이 시기는 바로 법흥왕과 진흥왕이 재위한 기간으로 이들은 말년에 출가할 정도로 불교에 독실하였다. 불교 관계 기사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황룡사 장륙상의 조성이다.
    『三國遺事』 塔像篇 「皇龍寺丈六」에서는 황룡사 장륙상의 조성 과정을 기록하였다. 장륙상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재료’와 ‘모양’은 배에 실려 하곡현 사포로 들어왔다. 사포는 현재의 울산 지역으로 울산은 신라가 외국으로 출국하고, 외국에 서 입국하는 관문이었다. 장륙상의 재료와 모양은 572년 신라에서 북제에 파견한 사신이 신라로 돌아오면서 가져왔다고 생각한다. 장륙상의 주조는 573년에 시작되는데 재료와 모양이 사포에 도착한 후 시간적 공백 없이 일련의 과정들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하곡현의 관리는 즉시 박재품의 종류와 양을 조사하여 경사에 보고하였고, 이때 목간을 사용한 문서행정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경사에서 보고서를 검토하고 박재품의 이동을 허가하자 재료의 운송이 시작되었는데 재료는 경사까지 사람이 짊어지거나(負) 말에 싣거나(駄馬) 소에 실어서 운송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모양은 재료와 함께 경사로 옮기지 않았다. 모양은 장륙상 조성에 필수적인 모형이기 이전에 불교의 선진국으로부터 온 소중한 불상이었으므로 사고의 위험이 큰 주조 장소에 두고, 함부로 볼 수는 없다. 따라서 하곡현 동쪽에 동축사를 급조하여 모양을 안치하고, 모양을 치밀하게 모방한 ‘새로운 모양’을 제작하여 주조 장소인 문잉림에 두고 장륙상을 제작하였을 것이다.
    재료는 서천 금교 부근의 흥륜사 앞길을 통하여 왕경 안으로 들어왔을 것이다. 흥륜사 앞길은 외국에서 온 승려와 부처의 사리, 불경 같은 불교 용품이 들어오는 관문으로 왕경의 중심지로 향하는 진입로이자 정문이었다. 재료는 이곳을 통과하여 주조 장소인 문잉림으로 옮겨졌다. 문잉림은 신성한 장소이자 목탄 생산 등 주조에 필요한 현실적 조건들이 완비된 장륙상 주조에 최적화된 장소였다.
    장륙상 조성 장소가 갖추어야 할 자연(또는 자원) 환경과 황룡사까지의 이동거리, 청동생산유적 등을 종합하여 생각할 때 주조 장소로 황남동 376번지 유적과 그 주변이 주목된다. 이곳은 질 좋은 목재가 풍부했던 서천의 숲과 가까워 목탄 생산에 적합하고, 마립간기 최고 계층의 분묘가 있는 신성한 지역이며 6세기 중반으로 편년되는 청동생산유적이 확인된 장소로 황룡사 장륙상이 주조된 문잉림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Buddhism was frequently stated in the history of Silla from the beginning of 6th century. Buddhism was legalized while the biggest temple Hwangryongsa as well as the sixteen-foot statue of Buddha were constructed at that time. It was 6th century that the two kings, Beopheung and Jinheung reigned. They were such committed and religious that they became Buddhist monks in their latter years.
    In order to build the sixteen-foot statue of Buddha, materials and small-scale models of the statue were essential. In 572, Silla imported materials and models from the Northern Qi Dynasty through dispatched envoys. They arrived at Sapo, Hagokhyun, currently known as Ulsan where was an international channel of Silla. On arriving, the construction of the statue was undertaken without delay in 573.
    Officials from the local government checked the type and amount of shipment and reported to the capital of Silla by writing in the wooden documents. When the capital reviewed the documents and finally allowed to move shipment, the materials were transported by men, or horses/cows to the capital.
    However, the small-scale models were not moved to the capital along with materials. Since the models themselves were valuable statues from the Northern Qi Dynasty where had an advanced history and practice of Buddhism, models should not be stored in the construction site. Hence,Dongchuksa was rapidly built to enshrine models at the east side of Hagokhyun. In addition, another models were newly imitated and utilized instead so as to build sixteen-foot statues of Buddha in the construction site of Mooningrim.
    Materials were delivered to the capital through the road ahead of Heungryunsa, Geumkyo, Seocheon to Mooningrim. The monks from abroad or buddhist valuables such as sarira and canonical literatures used to pass through this road as well. Mooningrim was a scared and optimized plac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atue equipped with all necessary conditions.
    Considering optimal condi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atue including the natural environment for the production of wooden charcoal, distance from the port to Hwangryongsa, and site of statue cast in bronze in Silla, Hwangnamdong 376 and its neighborhood are considered as a high potential construction site of the sixteen-foot statue of Buddha, Mooningri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Hwangnamdong 376 had abundant lumber nearby a forest of Seocheon, such a divine place with graves of top class, and bronze cast site in the mid-6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