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類개념에 대한 公孫龍의 인식과 활용 (A study on Gōngsūn Lóng’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Generic Concep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0.05
28P 미리보기
類개념에 대한 公孫龍의 인식과 활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54권 / 95 ~ 122페이지
    · 저자명 : 이경무

    초록

    이 글은 『公孫龍子』 「通變論」의 類개념과 매거논증을 물건의 존재 양상에 관한 「白馬論」, 「指物論」, 「堅白論」, 「名實論」의 담론과 연계하여 고찰함으로써 公孫龍이 類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고 있는지를 규명한다. 類개념에 대한 公孫龍의 인식과 활용은 類之同과 類之不同의 변별을 기초로 한다. 類개념에 대한 墨子의 인식과 활용이 同類와 非類의 변별을 기초로 하고, 孟子의 인식과 활용이 同類와 不同類의 변별을 기초로 하는 것과 흡사하다. 그러나 公孫龍은 類개념을 인식하거나 활용하는 데 있어서 墨子나 孟子와 차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첫째, 公孫龍은 기본적으로 가치 판단보다는 사실 판단을 더 중시하고 그것도 물건에 대한 지칭과 관련하여 개념 명사와 그 의미의 일치를 문제 삼는다. 둘째, 公孫龍은 類之同과 類之不同을 변별하기 위한 ‘명확한 표준’을 매거의 문제로 드러내고 잘못된 매거논증과 올바른 매거논증, 잘못된 매거와 올바른 매거, 올바른 명실 관계와 올바르지 못한 명실 관계 등을 구별한다. 셋째, 公孫龍은 집합을 중심으로 전체 집합과 집합의 원소가 서로 같은지 서로 다른지를 二無一 정확하게는 二非一의 명제로 다루어간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 concept of ‘lei [類]’ and inductions by enumeration in tōng-biàn theory [通辯論] and discussions about materials and modalities of being in white-horse theory [白馬論], pointing- thing theory [指物論], hardness-whiteness theory [堅白論], name-material theory [名實論]. This examination aims to reveal how Gōngsūn Lóng recognized and utilized the concept of ‘lei[類]’ that is similar to the generic concept in Aristotelian Logic.
    Gōngsūn Lóng’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lei [類] was based on discrimination between that of the same class and a different kind of being, similar to Menciu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But unlike Mencius, Gōngsūn Lóng made a unique assertion about them. First of all, he was more concerned with factual judgement than moral judgment, so the coincidence between term and meaning of ward was taken more seriously. Secondly, he emphasized well defined criteria of inductions by enumeration, and then distinguished sameness and differentiation between correct and incorrect inductions by enumeration. Thirdly, he dealt with the proposition of ‘two is not one’ that asserts whether universal set and element of set are the same or differ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