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士龍의 춘추대의에 대한 가치와 시대적 의미 (The change of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春秋大義] realized by Lee, Sayong[李士龍])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李士龍의 춘추대의에 대한 가치와 시대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1권 / 1호 / 167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동석

    초록

     조선 후기 사신의 일행들이 북경에 갈 때 심양을 거쳐 산해관으로 가면서, 영원성과 금주성에서 있었던 명청 교체기의 전쟁에 대하여 자주 이야기 했다. 이곳 전투 현장과 연관을 지어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인물은 李士龍이다.
     조선 병사 李士龍은 1641년 청나라 용병이 되어 금주성 전투에 참전했다가 희생된 사람이다. 전투를 하다가 희생된 것이 아니라 전투에서 총[精砲]에 총알을 비운 채 명나라 군사에게 쏘다가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숙종과 현종, 정조, 송시열, 남구만, 박지원, 홍대용, 이긍익 같은 사람들에게 오랜 기간 동안 회자된다. 특이한 것은 이사룡은 송시열과 정조에 의해 춘추대의의 화신으로 까지 크게 부각된다는 점이다.
     이사룡이 운명하고 나서, 죽음과 관련하여, 그의 행동에 대해서는 이미 조선시대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었다. 박지원은 이사룡이 중화사상에 빠져 청나라에 저항하다가 스스로 극단적인 길을 선택한 것처럼 묘사하였지만, 남인인 남구만과 이긍익은 조선 병사들이 명나라 군사들에게 총을 쏘려고 하지 않자, 청나라 측에서 이를 문제 삼아 이사룡을 희생양으로 처형했다고 기록하였다.
     이사룡의 고사를 두고 빗어진 춘추대의는 이처럼 남인과 노론의 견해가 달랐다. 노론 쪽이 대의명분에 좀 더 분명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숙종과 정조는 춘추대의를 강조하였는데, 공교롭게도 숙종 때에는 당쟁이 자주 발생하였고, 정조 때에는 천주교가 전래되어 남인을 중심으로 천주교도들이 늘어났고, 이에 대한 노론 벽파의 비난이 거세졌으며 정조가 노론의 문체를 비판하기도 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금주성 전투의 전후 과정과 당시 조선 병사의 분위기, 이사룡이 처했던 상황을 근거로 하여 이사룡이 실제로 어떤 행동을 취했는지 살펴보려고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오랜 동안 이사룡이 춘추대의의 상징인물로 부각된 원인에 대하여서도 분석하려고 하였다.
     숙종은 이사룡을 추증하고 후손에게 벼슬을 내렸으며, 정조도 후손에게 벼슬을 내렸다. 정조는 이들에게 묘지명을 써줄 정도로 관심을 보이기도 하였는데, 이사룡을 이순신 장군에 비교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조 이후 이사룡에 대한 이야기는 더 이상 찾아보기 힘들다. 왕조가 쇠퇴기로 들어서자 국왕을 비롯하여 위정자들이 춘추대의에 대하여 집착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춘추대의는 조선 왕조의 권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국왕과 집권 세력들 사이에서 중요한 명분으로 자리를 잡고 있었고, 이사룡은 이런 시각에 의하여 상징적인 인물로 부각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When the Joseon Dynasty send an envoy to Qing Dynasty, Joseon Dynasty envoy usually talked about LeeSayong(李士龍) who took part in a JinZhouWar[錦州戰鬪] and died in 1941 during going through this war area.
     During the JinZhouWar[錦州戰鬪], LeeSayong(李士龍) who was in a Joseon Dynasty firelock[鳥銃] troops to help Qing Dynasty, fired firelock without bullets in order to protect Min Dynasty soilder because he was rooted in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春秋大義]. At last his acting that fire firelock without bullets was found by Qing Dynasty soilders. So he was put to death by Qing Dynasty soldier.
     This story was well known among Joseon Dynasty scholar for a long time. He was represented as a embodiment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春秋大義]. But some scholars among the faction of NamIn(南人), this phenomenon was differently explained from the faction of NoRon(老論). For example, Namguman(南九萬) and LeeKynIk(李肯翊) maintained their opinion that LeeSayong(李士龍) was the sacrificial victim because at that time most of Joseon Dynasty soldiers who where in a JinZhouWar[錦州戰鬪] did not want kill Ming Dynasty soldiers. Because of this accident Qing Dynasty need a sacrificial lamb to encourage the other soldiers. So LeeSayong(李士龍) was chosen.
     It is said that Joseon Dynasty use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春秋大義] as to control the power of their subjet by using it, and LeeSayong(李士龍) was the representative of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春秋大義].
     It is also said that the Joseon Dynasty and Qing Dynasty’ estimate for the their loyal retainer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profit of political matters. So ZuDaShou[祖大壽] who is the ming general in JinZhouCheng[錦州城] and surrender to Qing Dynasty was get a prize to build Pai-Loo(牌樓), LeeSayong(李士龍) who is the Joseon soldier even though he is dead promoted and represented the symbol of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春秋大義].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