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갑골문에서 ‘龍’자의 ‘우두머리, 군장’이라는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head, military commander’ in the letter ‘lóng(龍)’ in Oracle Bone Scrip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12
26P 미리보기
갑골문에서 ‘龍’자의 ‘우두머리, 군장’이라는 의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언어연구 / 97호 / 321 ~ 346페이지
    · 저자명 : 박현주

    초록

    ‘龍’자는 갑골문에서 ․․․․ 등 형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龍’자에 지금까지 학계에서 해독한 의미와는 다른 의미가 있다는 것을 검토하였는데, 내용은 아래와 같다.
    갑골문에는 ① “貞 : 弗其羌龍.「合集6633」”, ② “貞 : 弔羌龍.「合集6635」”, ③ “甲子卜 : 亞耳龍, 母(毋)啟, 其啟, 弗每, 又雨.「合集28021」”, ④ “貞 : 勿令 (師)般取朿于彭龍.「合集8283」” 등 문장이 있다. 이 문장들 중에서 ①, ②의 은 ‘인명’이라는 의미로 쓰였고, ‘’는 ‘공격하다’, ‘섬멸하다, 무찌르다’로, ‘羌’자는 ‘羌族’으로, ‘弔’자는 ‘붙잡다’로 쓰였다. ③의 亞는 ‘인명’이라는 의미로 쓰였고, ‘耳’는 ‘방국명’으로 쓰였다. ④의 ‘ (師)般’에서 ‘ (師)’는 ‘관직명’ 또는 ‘군사’라는 의미이고, ‘般’은 ‘인명’이다. ‘取’는 ‘취하다, 얻다’라는 의미로 쓰였고, ‘朿’자는 ‘무기의 한 종류’로 쓰였으며, ‘彭’은 ‘방국명 또는 지명’으로 쓰였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①부터 ④까지 문장은 ‘방국’의 ‘龍’을 공격하거나 ‘방국 또는 지역’의 ‘龍’에게서 무기의 한 종류인 ‘朿’를 취한다는 내용이라는 것을 살펴보았다. ‘龍’자는 전국시기 문헌인 『呂氏春秋』에서 ‘임금’이라는 의미로 쓰였다.
    필자는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위 ①부터 ④에 쓰인 ‘龍’자의 의미가 ‘우두머리, 군장’이라는 것을 검토하였다.

    영어초록

    The character ‘lóng(龍)’ has the form of ․․․․ in the oracle bone script. This showed additional meanings of ‘lóng(龍)’ to those that have thus far been discovered. Those meanings are as follows.
    The following two passages using ‘lóng(龍)’ are found in oracle bone script: ① “貞 : 弗其羌龍.「合集6633」”, ② “貞 : 弔羌龍.「合集6635」”, ③ “甲子卜 : 亞耳龍, 母(毋)啟, 其啟, 弗每, 又雨.「合集28021」”, ④ “貞 : 勿令 (師)般取朿于彭龍.「合集8283」” ①, ②, ③, and ④ are sentences in the oracle bone script that contain ‘lóng(龍)’. Among these sentences, ‘’ in ① and ② means ‘name’, ‘’ means ‘attack’, ‘annihilate, defeat’, and ‘diào(弔)’ means ‘hold’. ③’s ‘yà(亞)’ means ‘name’ and ‘ěr(耳)’ means ‘Fang states name’. ④’s ‘shībān[ (師)般]’, ‘shī[ (師)]’ means the ‘name of a government post’ or ‘military’ and ‘bān(般)’ means ‘name’. The character ‘qǔ(取)’ means ‘have, take’ and the letter ‘cì(朿)’ means ‘type of weapon’. ①-④ include attacking the ‘lóng(龍)’ of a Fang states or taking ‘cì(朿)’, a type of weapon, from the ‘lóng(龍)’ of the Fang states or region. Thus, the character ‘lóng(龍)’ also meant ‘king’ in 『lǚ shì chūn qiū(呂氏春秋)』 texts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Thus,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character ‘lóng(龍)’ used in ①-④ meant ‘head, military comman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언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