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의 일본어 가나 표기법에 관한 고찰 - 2023년도 문체부 훈령과 교과서 편수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f Japanese Kana Notation in Korean Language -With a Focus on the CST Ministry's instruction and textbook compilation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3.11
18P 미리보기
한국어의 일본어 가나 표기법에 관한 고찰 - 2023년도 문체부 훈령과 교과서 편수자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 / 100호 / 105 ~ 122페이지
    · 저자명 : 김용각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를 일본어 가나로 표기함에 있어 현행 표기 규정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한국어를 일본어 가나로 표기하는 것은 지명, 인명, 음식명등의 고유명사를 일본어로 표기하는 경우인데, 이를 공공 기관에서 표기 규정으로 정하고 있는 것은 문화체육관광부의 훈령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과서 편수자료이다. 기본적으로 한국어와 일본어는 음운과 표기체계에 근본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떤 표기 원칙을 제정해도 한국어를 정확하게 일본어 가나 문자로 표기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각각의 규정은 내부적으로 체계적이고 정합성을 유지하고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외부적으로 다른 규정과 통일성이 지켜져야 함이 당연함에도 현행 규정은 그렇지 못한 점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그 배경에는 각각의 규정 제정에 관여하는 연구자가 동일인이 아닌 경우가 많고, 관련 기관 간의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 등을 들 수 있겠다. 또한 규정 제정에 참여하는 연구자들의 전문성 부족과 관련 규정에 대한 이해력 부족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공적인 일본어 표기 규정에 해당하는 문체부 훈령과 교과서 편수자료의 최근 규정을 통해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다만 현행 국내의 두 규정이 일본의 외래어 표기 규정과괴리가 커서 양국 간의 간극을 좁히는 작업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한국어의 일본어 가나 표기는 교과서 편수자료와 같이 한국인을 위한 측면도 일부 있겠지만 그보다 일본인을 위한 측면이 크다고 할 수 있기에 30년이상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일본의 외래어 표기 규정도 조속히 개정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notation regulations for representing Korean in Japanese kana script, as well as to identify the associated challenges and propose potential solutions for improvement. Typically, the Korean language employs Japanese kana alphabet for written communication. Notably, this practice entails utilizing Japanese characters for proper nouns, including geographical locations, personal names, and culinary terms.
    This convention is mandated by public institutions, as it aligns with the notation regulations prescrib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s well as the textbook compilation data provided by the KICE. There exists a fundamental distinction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in terms of their phonological and notation systems. Consequently, regardless of the established principles of notation, there are inherent limitations in accurately transcribing Korean into Japanese or its characters. However, it is imperative that regulations adhere to both internal consistency and external coherence, ensuring that they are not only systematic within themselves but also in harmony with other regulations. Unfortunately, numerous existing regulations fail to meet these criteria. The underlying context is that the individuals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each regulation frequently differ from one another,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ffiliated organizations is inadequately established. Moreover, it is noteworthy to highlight the limited expertise possessed by researchers involved in the implementation of regulations, as well as their insufficient comprehension of the corresponding regulatory framework.
    This study identifies issues pertaining to the recent regulation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directives and textbook compilation data, specifically in relation to public Japanese notation regulations. Subsequently, recommendations for amendments are put forth. Nevertheless, there is an immediate need to bridge the divide between the two nations due to the existing disparity in domestic regulations, which diverge from Japan's regulations on foreign language notation. The utilization of Japanese kana writing in the Korean language exhibits certain characteristics that are relevant to Korean learners, as evidenced by the presence of corresponding textbooks. However,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the significance of these aspects is more pronounced for Japanese learners.
    Consequently,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the prompt revision of Japan's foreign language writing regulations, which have remained unchanged for over three decad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