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래치료 명령제의 실효성과 외래 치료 순응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iveness of Outpatient Treatment Orders and Compliance with Outpatient Treatment)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7.06
10P 미리보기
외래치료 명령제의 실효성과 외래 치료 순응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신신체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신신체의학 / 25권 / 1호 / 46 ~ 55페이지
    · 저자명 : 장승호, 박인환, 이상열, 노수희, 서정석

    초록

    연구목적외래치료명령제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특정한 외래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법에 의해 명령을내리는 사회적 강제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치료명령제 및 정신질환자들의 치료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6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에서 11월까지 외래치료명령제 및 치료 순응도에 관한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각 문항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초안을 작성하고 3명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및 1명의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의견 조회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들의답변을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외래치료명령제의 실효성 점수에 대해서는 중앙값과 최고치, 최저치를 알아보았다.
    결 과60명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중에서 45명(75.0%)이 외래치료명령제를 알고 있었지만, 지난 12개월 중에이를 이용한 전문의는 2명(4.0%)이었고, 주관적 실효성 점수는 40점/100점으로 그 실효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재입원 환자 중 외래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았던 환자의 비율은 37.7%, 외래치료를 임의 중단한 환자비율은 53.1%로 임의 중단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퇴원 환자 중에서는 약 2/3가량이 지속적인 치료를 받고 있었다. 임의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의 관리방법으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n=27)와 ‘파악하지 않음’(n=15)가 대부분이었지만 ‘정신건강증진센터 연락한다’는 의견은 2명으로 매우 저조하였다. 또한 임의중단 환자에 대한 효율적인 조치로서는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연계해야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n=30).
    결 론현재 시행되는 외래치료명령제는 실효성이 낮고, 외래치료 환자의 치료순응도 또한 매우 저조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제도적, 행정적 개선이 필요하며, 향후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역할이 중요할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Outpatient treatment orders refer to a mandatory social program in which mentally ill persons are ordered by the court to participate in specified outpatient treatment program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outpatient treatment orders and adherence to outpatient treatment in mental health patients.
    Methods:A survey on outpatient treatment orders and adherence to outpatient treatment was conducted on 60 psychiatrists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2016.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raf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they were then evaluated by 3 psychiatrists and 1 law school professor before being finalized. Answers from the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median,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effectiveness scores of outpatient treatment orders were calculated.
    Results:Among the 60 psychiatrists, 45(75.0%) were aware of outpatient treatment orders; however, only 2 out of the 45(4.0%) had actually used the program in the last 12 months. The subjective effectiveness was very low, with only 40 points out of 100. Furthermore, of the readmitted patients, 37.7% had received continued outpatient treatment, whereas 53.1% chose to quit the outpatient treatment programs, meaning that the number of dropouts was higher. Among the discharged patients, approximately two-thirds were receiving continued treatment.
    With regard to follow-up for dropouts, majority of the responses were either “Not taking any action”(n=27) or “Not following up”(n=15). Only two respondents answered “Contact the community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meaning that this response was very rare. Meanwhile, when asked about efficient measures to be implemented for dropouts, a vast majority of the respondents(n=30) selected the answer “Work with the community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Conclusions:The outpatient treatment orders currently being administered were found to be ineffective, and the associated adherence to outpatient treatment was also found to be extremely poor. H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eutic interventions could benefit from institutional as well as administrative improvements. Community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s are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