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정심관 수행법을 통한 심리치료 -한역 『유가사지론』 중심으로- (The Mind Healing through the Practices of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心觀) in Yogācārabhūmi-Śāstra(瑜伽師地論) Translated into Chines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3.02
36P 미리보기
오정심관 수행법을 통한 심리치료 -한역 『유가사지론』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39호 / 297 ~ 332페이지
    · 저자명 : 강명희

    초록

    오정심관은 부정관, 자비관, 연기관, 계차별관, 수식관의 5종의 수행방법으로써 『유가사지론』은 행위를 깨끗하게 하는 수행대상[淨行所緣]에 포함시킨다.
    일반적으로 오정심관 중 부정관과 수식관은 붓다가 몸의 제도를 위해 자주 설한 수행법이었지만, 아비달마불교에서는 이 두 수행법을 입문수행의 두 관법으로 체계화시켰던 것들이다. 중국불교에 이르면 두 가지의 수행법에 여타의 자비관, 연기관, 계차별관(또는 염불관)을 포함시켜 오정심관(또는 五門)의 수행법으로 정형화시키게 된다.
    『유가사지론』은 이 5종의 수행관법을 수행대상이 된다고 하여 所緣의 이름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수행법에 여러 가지의 門을 세워 체계적으로 접근한다. 다시 말해 부정관은 朽穢不淨, 苦惱不淨, 下劣不淨, 觀待不淨, 煩惱不淨, 速壞不淨의 여섯 가지의 부정관의 방법을 점차적으로 설명하며, 이들 각각의 부정관을 통하여 욕구와 탐욕, 음욕과 음욕에 대한 탐욕, 경계에 대한 욕구와 탐욕, 살가야에 대한 욕구와 탐욕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자비관은 사랑[慈], 연민[悲], 기쁨[喜]의 감정을 사랑하는 사람, 원수 같은 사람, 중간관계의 사람에게 원망심, 적개심, 불해심 없이 조건 없이 주는 것이라고 한다. 결국 자비관을 통하여 다양한 진에의 마음을 제거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연기관은 오온의 시작과 작용과 특징을 네 가지로 도리로써 앎으로써 법성의 이치를 증험 또는 체득해 나가는 것이라고 하며, 이를 통하여 우치의 마음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계차별관은 내외의 4계의 차별상을 몸과 자연환경의 구성요소로써 아는 것이라고 하고, 몸속의 공간의 공계와 심의식의 식계를 아는 것이라고 하며, 이를 통하여 아만의 행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마지막 수식관은 입출식에 숫자를 헤아리는 산수수습과 오온수습과 연기수습과 성제수습과 16승행수습의 5종의 관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 각각의 수식관을 닦으면 산란심이 제거되고, 법의 이치를 알고, 입출식의 소멸을 알며, 현관과 견도소단의 번뇌를 끊으며, 수도소단의 번뇌를 끊어낸다고 한다.

    영어초록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心觀) are five kinds of practices as like the contemplation on impurity(不淨觀), the compassionate meditation(慈悲觀), the insight into causality(緣起觀), the contemplation on the elements(界差別觀), and the contemplation on breathe(數息觀) which are included in the object of perception cognized by means of pure act(淨行所緣) in Yogācārabhūmi-Śāstra(瑜伽師地論).
    The contemplation on impurity and breathe was originally recommended by buddha for concentration on body, and these two contemplations were systematized into two main practices that enter to buddhist meditation in Abhidharma buddhism. At last, in Chinese buddhism, these two contemplations were standardized to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 including the compassionate meditation, the insight into causality, and the contemplation on the elements.
    These Five Types of Mindfulness are named as "the object of perception(所緣)" in Yogācārabhūmi-Śāstra, because each object of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 is the object of concentration. So each type of Mindfulness is divided to several gates(門) and explained systematically in Yogācārabhūmi-Śāstra.
    The contemplation on impurity is divided to six kinds of ways as like the decay-dirty-impurity(朽穢不淨), the pain-impurity(苦惱不淨), the inferiority-impurity(下劣不淨), the seeing-waiting-impurity(觀待不淨), the earthly desire-impurity(煩惱不淨), the rapid decay-impurity(速壞不淨), and explained gradually. Yogācārabhūmi-Śāstra explains that, by these ways, greedy desires(貪慾) to riches, sex, good condition, and body can be removed.
    the compassionate meditation is giving kind and good minds as like benevolence(慈), compassion(悲), rejoicing at a person's success and happiness(喜) and so on to whoever he/she is good or not to me without any bad intend or condition to others, By the compassionate meditation, we can remove the mind that be got angry(瞋恚).
    The insight into causality is the way to see the beginning, role, and character of the Five Aggregates(五蘊), by which can experience and get the truth of Dharma-nature(法性). We can remove ignorant mind(愚癡).
    the contemplation on the elements is the way to see the different marks of four realms in the inside and outside as the constituent of body and nature, and see space-realm(空界) which is space in the body and consciousness-realm in mind. By the contemplation on the elements, we can remove the act fixated on the mind of I and mine.
    the contemplation on breathe is described as five kinds of contemplation ways. They are 1)the counting-practice(算數修習) which is counting breathe to remove distracted mind, 2)the Five Aggregates-practice(五蘊修習) by which we can see the truth of dharma, 3) the causality-practice(緣起修習) by which we can see the end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4) the holy truth-practice(聖諦修習) by which we can cut off earthly desire of now and here(現觀) and one cut off when he/she enters into the truth(見道所斷), and 5) the sixteen superiority-practice(十六勝行) by which we can cut off earthly desire disappeared by the practice after he/she enters into the truth(修道所斷).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