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대학의 기술료 사용제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f The Regulations on The Use of University Royalties using Delphi Techniqu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3.03
23P 미리보기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대학의 기술료 사용제도 개선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술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술혁신학회지 / 16권 / 1호 / 323 ~ 345페이지
    · 저자명 : 이재흥, 신준우

    초록

    본 연구는 자체 연구재원 확보 및 연구역량 확충을 위해 기술료의 정부 반납제도 폐지(2008년)에 따라 기술료 사용의 재량권이 확대된 대학의 기술료 사용 현황을 진단하고, 기술료 제도의 의의라 할 수 있는 연구개발 선순환 관점에서 기술료 사용제도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각 대학 산학협력단에 근무하는 기술료 징수․관리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참여연구원 보상금 지급기준 미비 및 극히 소수(교수 중심)에 대한 보상금 지급, 연구개발 재투자 소홀, 각 부처 기술료 규정 상이 등이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는데, 이에 대해, ① 과도한 수준의 참여연구원 보상금 사용비율 축소, ② 기술이전․사업화 기여자에 대한 보상금 사용비율 확대 및 보상금 지급에 대한 교수 등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전환 노력, ③ 연구개발 재투자 규모 확대, ④ 각 부처의 기술료 사용기준 통일 및 대학 자체의 기술료 사용기준(학칙) 구체화, ⑤ 기술료 사용 우선순위 제도화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도출된 기술료 사용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토대로 대학의 기술료 사용제도가 대학의 재정확충을 통해 자체 연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problems with the Korean system regulating the use of university royalties are identified and investigated in order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in a way that provides a better R&D environment at universities. The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gather data from royalty specialists at universities and government ministries. The first Delphi survey conducted used open questions to identify problems in the use of university royalties. Then, closed questions were used for the second Delphi survey. The number of responses and the frequency of answers were analyzed after the first survey, and validity, stability, and reliability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second survey.
    The measures suggested to improve the system regulating the use of university royalties are as follows:First, bonuses for researchers, which are currently 50% or more of collected royalties, need to be decreased, as they are rather high compared to similar bonuses in developed countries, which are around 30% of collected royalties. The guideline for limiting the bonuses, which is explained as XX% or less of collected royalties, is suggested to prevent the excessive use of royalties.
    Second, rewards for those who contribute to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hould be increased. It is also important to build a consensus around the need to reward those who contribute to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Third, the scale of re-investment into R&D needs to increase. Regulations on royalties should be meaningfully applied to create a positive feedback structure for R&D,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process of research, R&D outcomes, technology transfer, collecting royalties, rewarding researchers, and re-investing in R&D. To build a university's R&D capability, re-investment into R&D needs to be regularized as XX% or more of royalties.
    Fourth, regulations on the royalties of ministries and universities need to be unified. Each category for using royalties needs to be regularized, with detailed matters such as the guideline, process and method for using royalties specified. Also, universities need to make their own specific regulations.
    Fifth, specific priorities on the use of royalties need to be suggested. Regulation is necessary for the categories that do not have guideline and priorities for the use of royalties.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reinforcing the R&D capability of univers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술혁신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