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예지 『조선문단』의 상업성 전략 및 속성 연구—기획 연재물 측면과 잡지 광고료·정가·구독료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ercial Strategy and Properties of the Literary Magazine Joseonmundan(조선문단))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09
35P 미리보기
문예지 『조선문단』의 상업성 전략 및 속성 연구—기획 연재물 측면과 잡지 광고료·정가·구독료 측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86호 / 187 ~ 221페이지
    · 저자명 : 조창규

    초록

    『조선문단』은 기성 유명 문인들을 기용하고, 주목받는 신인 작가들을 등용함으로써 그들의 대중성을 상품성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이에 가장 대표적인 기획물이 「문사방문기」이다. 「문사방문기」에 인터뷰이로 선정된 김기진과 박영희는 신경향 문학의 선도자적인 작가였다. 또 다른 인터뷰이인 주요한은 『조선문단』에서 첫 시집을 발간해주었던 작가였다. 그의 첫 시집 『아름다운 새벽』은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으며, 『조선문단』은 그를 또 「문사방문기」에 참여시킴으로써 상업적으로 활용했다. 또한, 당시 문단에 혜성같이 등장한 김동환을 인터뷰이로 선정한 것도 그의 대중적 인기를 이용해 잡지 판매량을 늘리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문사방문기」가 의의가 있는 것은 당시 조선의 잡지들 중에서 최초로 기획 연재했다는 점이다. 즉, 문사들을 직접 찾아가 인터뷰했던 방문기 형식의 기획물은 『조선문단』이 처음이었다. 또한, 「문사방문기」는 『조선문단』이 2차 휴간 후 발간된 19호부터 새롭게 기획 연재되었다는 점에서 그 상업적 의도를 알 수 있다. 즉, 두 차례 휴간을 겪은 『조선문단』이 본지의 판매량 증대를 위해 과월호들에서 볼 수 없었던 신선하고 대중적인 콘텐츠를 고안해냈는데 그것이 바로 「문사방문기」였다.
    『조선문단』의 상업성 전략과 속성을 또, 잘 알 수 있는 것이 광고료·정가·구독료이다. 『조선문단』은 1차 휴간을 겪은 후, 광고료를 많이 인상했는데 이를 통해 재정난을 타개하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창간호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조선문단』은 5호부터 정가·구독료를 약 2배 인상했는데, 이는 독자들의 열화와 같은 페이지 증가 요청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었다.
    3차 휴간 후, 속간된 21호의 정가·구독료는 1개월에 30전으로 당시 거대 신문사 잡지였던 『신동아』, 『조광』과 같은 가격이었다. 이는 당시 조선인 인부의 일급 4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비록 대공황으로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도 불구하고, 『조선문단』은 그들과 동일하게 책값을 매김으로써 상업적으로 밀리지 않고자 했던 의지를 드러내었다.
    이처럼 『조선문단』은 그 문예 정체성을 살린 흥미로운 콘텐츠를 새롭게 기획하였다. 또한, 광고료·정가·구독료 등을 상업적으로 적절하게 조절하였다. 『조선문단』의 이러한 노력과 수고는 26호까지 장수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다.

    영어초록

    The Joseonmundan(조선문단) attempted to utilize their popularity as marketability by appointing well-known writers and new writers. Therefore, the most representative project is “A literary man interview”. Famous writers who Kijin Kim and Younghee Park, Yohan Ju, Donghwan Kim, was selected as the interviewee because Joseonmundan wanted to increase the sales of magazines by using his popularity.
    The significance of “A literary man interview” is that it was the first planned serialization of Joseon magazines at that time. In addition, “A literary man interview” shows its commercial intention in that the Joseonmundan was newly planned and serialized from Issue 19, which was published after the second suspension. In other words, Joseonmundan, which had been suspended twice, devised a new and popular content that was not seen in past issues to increase the sales volume of this magazine, and that was the “A literary man interview”.
    The commercial strategy and properties of the Joseonmundan are well understood by advertising rates, a book price, and a subscription fee. Joseonmundan increased advertising rates a lot after going through the first suspension, because it tried to overcome the financial difficulties through this.
    In addition, Joseonmundan, which gained great popularity in its first issue, increased a book price and a subscription fee by about twice from Issue 5, which was made in response to the readers’ deterioration and requests for page increase.
    After the 3rd suspension, a book price and a subscription fee for Issue 21 was 30 Jeon a month, which was the same price as 『Shindonga』 and 『Jogwang』, which were large newspaper magazines at the time. Despite the economic downturn due to the Great Depression, the Joseonmundan revealed the will not to be pushed commercially by pricing books the same as they did.
    As such, Joseonmundan has newly planned interesting contents utilizing its literary identity. In addition, advertising rates, a book price, and a subscription fee were appropriately adjusted commerci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