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름다운’ 노동에 대한 디스토피아 - 크뢰츠의 극작품 『이도 저도 아니다』 연구 (Dystopia an der schönen Arbeit - Nicht Fisch nicht Fleisch von F. K. Kroetz)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12
21P 미리보기
‘아름다운’ 노동에 대한 디스토피아 - 크뢰츠의 극작품 『이도 저도 아니다』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82권 / 82호 / 69 ~ 89페이지
    · 저자명 : 김화임

    초록

    극작가 크뢰츠 Franz Xaver Kroetz(1946- )는 1970년대 독일에서 가장 많이 공연되었던 작가이다. 20세기 중후반 이래로 그의 작품은 미국, 남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공연되었다. 초기작에서부터 사회의 변방에 위치한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있는 크뢰츠는 바로 그들의 시각에서 독일 사회, 더 나아가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들추어왔다. 물론 몇 번의 변곡점이 있었지만 그의 지속적인 관심은 ‘노동자’ 계층의 문제에 두어져 있다. 『이도 저도 아니다』도 “노동자계급의 미래를 둘러싼 투쟁”(Zit. nach Hein 1986, 90)에 다름 아니다.
    갈수록 진보하는 기술은 그것으로부터 소외된 사람들을 양산하고 있다. 크뢰츠가 주목하였던 1980년대 컴퓨터 기술은 이제 보편화의 단계를 넘어서 인간을 지배하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다. 작품에서 제기되고 있는 경영합리화와 해고의 문제는 오늘날에도 지속되고 있는 사회적 문제이다. 작가는 노동자의 시각에서 기술진보의 문제를 바라보고, 그것이 노동자 및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작가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그것에 대한 두려움과 절망감이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가에 집중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Es handelt sich im Stück Nicht Fisch Nicht Fleisch um das Wegrationalisieren von Arbeitsplätzen. Der alte Bleisatz soll durch Photosatz ersetzt werden. Im Umschulungszentrum verweist Edgar darauf, dass die Technik den Menschen nicht entlastet, sondern entlässt. Gleichzeitig vertritt er eine Handwerksideologie, nach der ein Produzent vollständig über sein Produkt bestimmen muss, um sich damit identifizieren zu können. Im Gegensatz zu ihm vertritt Hermann, engagierter Gewerkschafter, ein von Fortschrittsoptimismus geprägtes Geschichtsbild. Für ihn geht es um den Kampf, den Fortschritt nicht den Kapitalisten, sondern den Arbeitern zugute kommen zu lassen.
    In diesem ungelösten Widerspruch zwischen dem Pessimismus Edgars und dem Optimismus Hermanns befürwortet Kroetz die Position des Menschen gegen den technischen Fortschritt. Und er artikuliert die Ängste der Arbeitnehmer, die ironisch und grotesk dargestellt werden. Kroetz verwendet das Bild vom Fisch im Wasser und von der Enge des Aquariums. Es steht für die Enge der Welt, in der Edgar und Hermann, Emmi und Helgar leben müssen. Flucht ist ausgeschlossen. Durch Edgar bringt der Autor Endzeitvisionen menschenverachtender durchstrukturierter Lebensbedingungen unter einer Beobachtungs- und Überwachtungsstrategie zum Ausdruc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