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상학 관점에서 본 영화 <1917> 속 롱 테이크 기법의 비(非)리얼리티화 (The Corruption of Long-Take Techniques in the Movie '1917' from the Iconographic Perspectiv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04
14P 미리보기
도상학 관점에서 본 영화 &lt;1917&gt; 속 롱 테이크 기법의 비(非)리얼리티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75권 / 269 ~ 282페이지
    · 저자명 : 신상혁, 박재모, 이종윤, 홍장선

    초록

    영화에서 리얼리티를 구현한다는 것은 관객에게 그것이 실제 사건, 공간인 것처럼 느껴지게 만드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스토리의 영화라도 리얼리티가 떨어진다면 관객의 감정은 영화에 충분히 동화되지 못할 것이고 외면받는 것이 냉정한 현실이다. 제9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촬영상을 포함해 3관왕을 거둔 영화 <1917>은 다양한 특수효과와 수 많은 배우가 출연하는 전쟁영화임에도 불구하고, 35개의 롱 테이크 컷만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보통 수 백개 이상의 컷을 사용하는 상업적 영화와 비교해 보면 <1917>은 극단적으로 적은 컷 수와 많은 롱 테이크 기법을 사용하여 리얼리티를 구현하였다. 하지만 <1917>의 리얼리티는 더 진화된, 더 다양한, 복합적인 방식으로 표현되는 타 리얼리티 영화에 비해 롱 테이크 기법이 그 어떤 방식보다 앞섰다고 말하기 모호하다 라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 영화 <1917>의 장면 이미지가 구조적 차원에서 어떻게 현실적 투영화가 진행되었으며, 그것이 지니는 상징가치의 표현이 실제로 리얼리티적 표현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도상학적 접근으로 단계별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일차적 단계를 통해 롱 테이크 기법에 활용된 오브젝트들의 인식 과정을 고찰하였고, 인식된 오브젝트들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이차적 단계의 외적 리얼리티화 분석이 전개되었다. 삼차적 단계에서는 롱 테이크 기법에 의한 내적-외적 리얼리티가 특정 기준성에 따른 비(非)리얼리티화의 구축 현상을 분석하였다.

    영어초록

    Implementing ‘REALITY’ in a movie means making the audience feel like it's a real event, a space. Every scene in a movie is reconstructed based on a story, not real. No matter how good the movie is, if the reality falls, the audience will not be able to assimilate to the movie and the movie will soon be shunned. The film <1917>, which won three gold medals at the 92nd U.S. Academy Awards, was produced using only 35 long-take cuts, despite being a war film featuring a variety of special effects and numerous actors. Compared to commercial films that usually use hundreds or more cuts, <1917> has implemented reality using extremely few cuts and many long-take techniques. However, the reality of <1917> is expressed in more advanced, more diverse, and complex ways, and it is also considered ambiguous to say that the long-take technique wa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method. Therefore, this study need to discuss the non-realization phenomenon of long-take techniques. Whether the long-take technique, which is illuminated by the movie <1917>, is suitable for implementing reality or is it a temporary filming method that is drawing attention again like a trend. This study wants to find out whether the creation of realistic expressions is simply implemented as subjects or by filming techniques. To this end, the research wants to study the realistic projection of the scene image of the movie <1917> on a structural level, and step by step with a Iconographic approach to how the expression of the symbolic value of the movie is actually implemented as a realistic ex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