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의 롱테이크와 상호매체성 (The Long Take and Intermedi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9.02
20P 미리보기
영화의 롱테이크와 상호매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5권 / 1호 / 55 ~ 74페이지
    · 저자명 : 심은진

    초록

    뤼미에르의 ‘광경’은 우발성과 불확실성을 포착하기 위해 롱테이크를 사용한다. ‘광경’에서 롱테이크가 표현하는 사실효과와 프레임의 사용은 회화적인 요소를 담고 있다. 히치콕의 <로프>는 롱테이크만으로 이루어진 영화이다. <로프>의 롱테이크는 텔레비전적인 스타일을 영화로 표현하고자 한 실험의 결과이다. 텔레비전의 현전성(現前性), 증인으로서의 관객의 시선이 롱테이크를 통해 잘 표현된다. 쿠아론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새로운 방식의 롱테이크를 연출한다. <칠드런 오브 맨>에는 현란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이어지는 롱테이크가 등장한다. 디지털 롱테이크는 바쟁이 의미하는 실제의 시간의 구속을 받지 않는다. 쿠아론이 연출하는 디지털 롱테이크는 무엇보다 공간을 입체화하는 효과를 만든다. 쿠아론 영화의 롱테이크는 현장감을 전달하기보다 관객을 현장에 있게 만든다. 관객은 마치 자신이 영화의 세계 속에, 이미지 속에 있는 것처럼 느낀다. 관객은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처럼 쿠아론의 영화 속에서 감각과 체험을 즐기게 된다.
    롱테이크 쇼트는 영화의 탄생과 함께 시작되었다. 뤼미에르의 ‘광경’은 1분정도의 지속시간을 지닌 하나의 쇼트로 된 영화이다. 영화는 회화, 사진, 텔레비전, 디지털 이미지와 같은 다른 매체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하고 발전했다. 롱테이크의 형식과 효과 또한 다른 매체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했다. 본 연구는 롱테이크 쇼트를 회화, 텔레비전, 디지털 이미지와의 상호매체적인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는 영화 미학적인 관점에서 롱테이크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long take shot began with the birth of movies. Lumiere’s ‘Vue’ is a movie consisting of continuous one-minute shots. Over time, films have changed and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other media such as painting, photography, television, and digital images. Similarly, the format and effect of the long take altered due to the influence of other forms of media. This study will examine the long take from an interactive media perspective which includes painting, television, and digital images. This study will also address how the long take has changed from a cinematic point of view.
    Lumiere’s ‘Vue’ uses the long take to capture contingencies and uncertainties. The frame usage and realistic effects in ‘Vue’ contain pictorial elements. Hitchcock’s <Rope> is a film consisting of long takes. The long take in <Rope> is the result of an experiment in which television-style filming is implemented in the movie. The presence of the television-style filming and the audience’s eyes as witnesses are well expressed through the long take. Cuaron presents a new method of the long take with digital technology. <Children of Men> consists of long takes which lead to brilliant camera movements. Digital long takes are not constrained by real-life time. Above all, digital long takes directed by Cuaron create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space. The long take of Cuaron’s films absorb the audience into the movie rather than conveying the feeling of the scene. The audience feels as though they are in the world of movies. Audiences will enjoy the senses and experiences within Cuaron’s films just like a gamer enjoying digital ga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