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위일체 예배에서 실행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성 ― 삼위일체 페리코레시스와 음양 상징의 공동체적 관계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Harmonious Communal Relationship Performing in the Trinitarian Worship — A Study of Comparison of Relationships between Perichoresis of Trinitarian God and Yin-Yang Symbolis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09
32P 미리보기
삼위일체 예배에서 실행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성 ― 삼위일체 페리코레시스와 음양 상징의 공동체적 관계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82호 / 321 ~ 352페이지
    · 저자명 : 나인선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기독교인들이 성부-성자-성령 삼위 하나님을 향해 찬양과 경배를 드리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예배가 사회-정치-경제적 갈등과 억압의 관계에서 살아가는 신앙인들에게 어떤 공동체적 관계를 실행(performance)하도록 하는가에 관해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존재론적 관계 이해, 정치-사회학에서 제시하는 자유 평등주의와 대비되는 평등 공동체적 관계, 그리고 예배 언어 실행의 특징 을 살펴 본다. 그리고 두 관계의 패러다임인 삼위일체 하나님의 페리코레시스(perichoresis)를 통한 공동체적 관계와 전통적인 동아시아의 근본적인 관계 개념인 음양 상징주의가 제시하는 두 공동체적 관계의 특징을 상호 비교를 통해 비평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페리코레시스의 관계 이해는 동아시아의 전통적 음양 상징이 실행하는 관계 개념이 억압과 지배의 관계 이념으로 오용되었다는 역사 비평적 사유를 하도록 하고,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으로 형성된 전통적 음양 상징이 제시하는 관계 이해를 더 창의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신학적 관점과 이 를 통해 공동체의 관계를 변혁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두 관계의 상호 비평적 이해를 통해 열리는 새로운 관계 이해의 지평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기독교인들이 드리는 삼위일체 하나님 예배 안에서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로 자신의 신비를 드러내시며, 신앙-예배 공동체를 자신의 신비에 대응하는 조화로운 공동체로 세워 가심을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confession of the Trinitarian God in faith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aily life because it clearly points to the relational nature of all living beings. The prototypical model of our relational love is the love of salvation that exists in the perichoresis of the eternal-relational Trinity among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Korean cultural heritage is infused with the yin-yang paradigm, which assumes fluid, harmonious constantly changing relationships of opposites. East Asian culture has the possibility to elevate the beauty of harmony as part of socio-political reality in aesthetic truth. Yin-yang symbolism, a basic East-Asian relational idea,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opposites and appreciation of others. It is an appropriate paradigm to develop the communal relationship of the Trinitarian God in the Korean worshipping context. In the Korean and East Asian social-cultural context, a harmonious relational paradigm is needed so that we may creatively develop communal relationships with other human beings and the natural world. The combining of the perichoresis in the social Trinity with harmonious yin-yang symbolism could be a way to deepen Christian faith in the Trinitarian God in Korea. The combination of a perichoresi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Trinity and yin-yang symbolism can also provide a framework to challenge and undermine dehumanized relationships built upon the dominant ideologies of power, order, submission, and hierarchy. The harmonious communal relationship as a consequence of dialogue of perichoresis and yin-yang symbolism in the context of Korean Christian worshipping communities will also serve as a counter-relationship to manipulate “isms”, such as individualism, totalitarianism, materialism, and excessive consumption, and recognize the necessity of others to achieve harmonious relationships in the world. The Korean worship of the Trinitarian God will be able to recover dynamic harmonizing power to reformulate or reverse the st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ful and the powerless, the rich and the poor, the served and the server in current Korean socio-cultural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