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용요법의 방법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Study on the Methodology of Dance Therap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3.06
15P 미리보기
무용요법의 방법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체육학회지 / 17권 / 1호 / 47 ~ 61페이지
    · 저자명 : 김영옥, 송인숙

    초록

    무용은 언어 이전의 속성을 지닌 움직임부터 시작하고 표현성과 의사교환이라는 관점이 있기에 언어이전인 생의 초기단계의 심리적 요인에 효율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용의 관점을 가지고 리듬이나 음악, 즉흥 연기나 그외 다른 자극 방법을 통해 정신과 신체의 부조화를 겪는 사람들에게 타 분야가 할 수 없는 무용 움직임 고유의 기능으로, 정신과 신체의 조화를 추구하는 정신 치료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오늘날의 무용요법 치료사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국 초기 선험자들 마리안 체이스, 브랑쉐 이반, 마리 화이트 하우스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다양한 방법들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초기 선험자들의 이론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선험자들의 무용요법의 방법론은 3가지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신체 준비운동단계와 감정의 준비운동단계, 즉흥단계이다. 신체 준비운동단계에서는 뛰기나 달리기, 돌기, 흔들기, 뛰어오르기의 동작을 통해 자유스러운 감정을 표현하게끔 하므로 환자들이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과 적절한 긴장과 완화를 이행하는 단계였다. 이러한 기능적 단계 후에 창작무용의 요소와도 같은 감정의 준비운동단계로 들어갔다. 이는 곧 투사테크닉이라고도 하였는데 처음에 요법사의 도움으로 주제를 정하고 자신을 그 주제의 맞는 이미지로 투영시키므로 잠재된 신체동작과 더불어 내면의 감정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즉흥단계에서는 단순한 즉흥적 움직임과 감정표현이 아니라 환자 자신이 표현해 내는 즉흥동작에 대한 스스로의 바른이해와 그 동작을 계획하고 반복 가능한 무용동작으로 인식시키므로 자신을 조정하는 능력을 키우게 하는데 의의가 있는 단계이다. 또한 이러한 3가지의 공통된방법론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방법론의 기초가 되는 3가지 이론적 체계를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신체활동 에 관한 이론이다. 선험자들이 다룬 환자들의 신체는 대부분 내면의 갈등을 보여주는 반대되고 억압된 충동에서 생겨난 스트레스와 고립으로 인해 긴장되어 있는 상태로서 초기 선험자들 모두 표현적이고 창조적인 무용을 통해 정신과 신체를 조화시키며 나아감을 추구했다. 이것이 초기 선험자들이 무용요법 시 공동으로 삼은 신체와 정신의 조화라는 목표였다.
    두 번째는 마리 화이트하우스가 일컬은 활동적인 상상(active imagination)이다. 화이트 하우스는 이러한 상상이 환자의 무의식에 대한 인식, 그리고 초 의식적인 경험의 깊이를 깊게 해주고 확장한다고 믿었다. 세 번째로 유추해낸 이론은 무용요법에 있어 중요한 개념인 치료사와 환자간의 “관계성” 이다. 치료사는 그들의 세계에서 환자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분석하며, 그들의 변화 과정에 동참하므로 그들의 세계에 들어갔고 환자와 치료사의 상호간에 신뢰가 성립되므로 관계성 치료가 가능케 되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공통적인 이론과 방법론을 토대로 심층분석 해본 결과 각각의 선험자들의 개별적 특성을 분석해볼 수 있었다.
    마리안 체이스는 치료사와 환자간의 신뢰와 서로간의 감정, 생각의 교류를 중요시 여기며 방법론에 있어 마지막 마무리 단계까지 3단계로 나뉘어 실시하였고 1단계에서 감정이입과 감정표현, 그룹형성을 통해 환자들간의 접촉을 시도하며 긴장을 완화시켜 나갔다. 2단계에 와서는 그룹 내에서 응집력과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켜 환자들의 동작을 더욱 리드미컬하게 발전시키면서 그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유도해 냈다. 이반은 그룹을 대상으로 준비운동, 기능적인 테크닉, 무용의 즉흥을 중점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중 기능적인 테크닉은 신체를 보다 기능적으로 회복시키고 훈련시키는 해부학적 체계로서, 신체의 건전한 기능의 회복, 감정 표현에 필요한 동작 제공, 신체 표현에 보다 확고한 감정과 느낌을 갖도록 도와주며 보다 효율적이고 의미 있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목표를 지니고 실시하였다.
    화이트하우스는 융의 심리분석에서 매우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그녀의 무용요법에서 가장 주요기법 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활동적인 상상으로서, 무의식의 자아를 활동적인 상상을 통하여 의식적으로 만드는데 무용요법의 목표를 두었다. 이와 같은 치료사들의 개별적 특성 외에도 치료사와 환자간의 개입되는 양식들이 언어적이었는가 아니면 비언어적이었는가와 치료사들이 환자들의 움직임에 대한 통제의 정도로서 상황에 따른 지배적인 통제와 시공간의 여유와 자유를 주는 방법을 취하기도 하였다. 무용요법의 초기 선험자들의 이론과 방법은 현재 실질적으로 무용요법의 기초가 되는 다양한 방법이며 중요한 기초체계이다.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 맞는 정서와 근접한 무용요법의 이론과 방법론적 체계가 더 연구되어야하며 이를 위해 미비하나마 진행되고 발전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무용요법에 대한 전문적인 인식과 지지가 정신의학과 타 예술요법분야와의 적절한 조화로 발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영어초록

    Dance is effectively able to access the psychological elements which are at the first stage of pre-language life since dance is constitute of movements, which have pre-language attributes, description, and communications. In these points of view, the dance therapy is applied to persons who are suffering from the disharmony between mental and physical status using rhythm, music, impromptu acting and other stimulation methods.
    In this study, theoretical backgrounds of various techniques are suggested exploiting the methodologies of the first stage US therapists whose works have tremendous effects on today s dance therapists. The theories and methodologies of three first stage therapists, Marian Chace, Blanche Evan, and Mary Whitehouse are studied.
    The methodologies of the previous therapist are classified into 3 steps, the body preparation step, the emotion preparation step, and the impromptu step. For the first step, the body preparation step has the patient recognize their body himself and supplies appropriate tension and easiness by performing activity such as hopping, running, rotating, shaking, and jumping which can let patient feel relaxing emotion.
    After this technical step, the next is the emotion preparation step which is one of elements of the creative dance. This is called as a projecting technique. First, a patient chooses his subject with help of the therapist. Then with projecting the subject on the patient, the patient is led to extract the emotion from the inside of himself.
    Next, the impromptu step is to convert the movement, which is led from the emotion, into more specified and profound image through the impromptu processing. lt is the purpose of this step that the patient has a good understanding about the impromptu movement and gets the controllability over the patient himself by planning movement and recognizing the movement as repeatable one.
    Since dance is the experience by body that is the human itself, the early therapist systemized the dance to become the effective ways for cure with these methodologies.
    AS the therapist plays a role in helping the patient to self-recognize and act, and to recover the confidence from inside of himself, the dance therapy has been developed as a good method of c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