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天台智顗와 嘉祥吉藏의 中道論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Middle’ Theory by T'ien-T'ai and Chi-cha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9.11
38P 미리보기
天台智顗와 嘉祥吉藏의 中道論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5호 / 95 ~ 132페이지
    · 저자명 : 노채숙

    초록

    남북조시대의 천태지의와 가상길장은 『중론』을 토대로 중도론을 전개하
    는데 그 논리에 차이가 있다. 지의의 경우는 空ㆍ假ㆍ中이 원융상즉하는
    三諦三觀說을 정립하니 그것이 ‘卽空卽假卽中論’이다. 반면에 길장은 인연
    상대의 개념을 바탕으로 중도에서 空ㆍ假를 일치시키는 ‘三種中道論’을 전
    개한다.
    본 논문은 길장의 ‘삼종중도론’과 지의의 ‘즉공즉가즉중론’을 비교해 보
    기 위하여 두 대사가 空ㆍ假ㆍ中을 어떠한 개념으로 규정하였는지를 고찰
    해 보았다. 그 결과 길장은 중도를 연기법에 의거한 상대적 개념으로 인식
    한 가운데 삼종중도로서 空도 中이고, 假도 中이라고 규정한다. 즉 中을
    통하여 空, 假를 단계적으로 일치시키는 차제적 변증방법을 사용한 것이
    다. 이에 비교해서 지의는 일념의 원융삼관에 의하여 즉공즉가즉중으로서
    중도의 절대성을 드러내었다. 말하자면 중도 안에 다시 공가중이 있어 하
    나의 중도가 일체의 중도가 되는 중층적 구도아래에 空ㆍ假ㆍ中이 상호
    융즉하는 중도론을 전개한다. 이같이 空ㆍ假ㆍ中이 일치하는 즉공즉가즉중
    론은 ‘원융적 중도론’이라 한다. 여기서 지의는 空ㆍ假ㆍ中을 즉공즉가즉중
    으로 설명하는 원융적 通門과 藏, 通, 別, 圓에 의거한 차제적 別門에 따라
    설명하였다. 이는 중도를 상대적ㆍ절대적 양 측면 모두에서 규명한 것이
    다. 차제적 別門에서는 空ㆍ假ㆍ中을 차례대로 해석하였으나, 원융적 通門
    에서는 開顯과 觀心이라는 회통적 관점에서 즉공즉가즉중을 이끌어 내었
    다.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 지의는 일체법이 곧 一切空이며, 一切假이며, 一
    切中과 융통하는 절대적 중도를 표명하고자 했음을 볼 수 있다.

    영어초록

    Chi-chang(吉藏) unfolds Middle way’s Theory based on a step-by-step
    approach(次第的) through relative Emptiness, Pro-visionality, Middle(相待
    的 空假中) while T'ien-T'ai(天台) finds Middle way’s Theory based on
    Completely Inter-fused(圓融的) through absolute Emptiness,
    Pro-visionality, Middle(絶待的 空假中). But Emptiness, Pro-visionality,
    Middle of two Buddhist priests are related to Madhyamaka-śāstra(『中
    論』)’s Three Truth verses(三諦偈).
    According to Doctrine(約敎), Chi-chang(吉藏) explains Existence &
    Non-existence(有無) through observing each other Cause and
    Occasion(因緣相對). Existence and Non-existence are referred to as
    Provisional Existence & Provisional Non-existence(假有, 假無), namely
    No-existence & No-non-existence(非有非無).
    But according to Doctrine and Reality(約敎, 約理), T'ien-T'ai(天台)
    observes Existence and Non-existence(有無). Aspects of Doctrine(敎),
    T'ien-T'ai distinguishes Existence(有) & Non-existence(無) by
    relative concept, but aspects of Reality(理), T'ien-T'ai sees through
    Existence(有) & Non-existence(無), namely Identical to emptiness,
    provisional existence, middle(卽空卽假卽中) by absolute concept. Thisis right Completely Inter-fused Three Truths(圓融三諦). In particular,
    T'ien-T'ai(天台)’s characteristics is viewing Emptiness, Pro-visionality,
    and Middle(空, 假, 中) based on exposing the Expedient and revealing
    the Real[開權顯實] in the Lotus Sutra(『法華經』) and a Single
    Thought(一念).
    T'ien-T'ai(天台) as Meditation teacher does not seek theoretical
    and rhetorical Buddhism, but attempts to harmonize with Doctrine &
    Practice. In other words, Completely Inter-fused Three Truths(圓融三
    諦) is demonstrated Completely Inter-fused three practicalization(圓融
    三觀). In other words, Completely Inter-fused Three Truths and
    Completely Inter-fused three practicalization are not two.
    In conclusion, Chi-chang expanded middle on a step- by-step(次
    第) approach, and T'ien-T'ai revealed middle on a Completely
    Inter-fused(圓融) form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