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互體論의 發展과 그 易學的 意味 (The Development and Yeokhak-Based Meanings of Hoche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6.12
37P 미리보기
互體論의 發展과 그 易學的 意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3권 / 1호 / 479 ~ 515페이지
    · 저자명 : 최인영

    초록

    互體論은 『周易』을 폭넓게 해석할 수 있는 긴요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체계적 연구가 미비하였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易學史 속에서 호체가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향후 互體論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에 은허에서 발굴된 갑골문자 卜辭로부터 시작한 互體의 기원을 비롯하여 역학적 이해를 위한 다양한 해석과 함께 互體의 발전 양상을 중국과 우리나라를 나누어 시대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서한시대의 京房이 최초로 互體說을 정립한 이래 의리역학자로 알려진 程頤와 朱熹의 문인 朱震, 胡炳文은 스승과 상이하게도 취상적 해석에 더 많이 집중하였다. 朱熹는 『易學啓蒙』에서 모든 卦는 네 개(乾 坤 旣濟 未濟)의 互體로 돌아간다고 하였다. 즉 해석적인 측면보다 卦의 연관성에다 더 중점을 두고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朱熹는 互體를 배척하지도 않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지도 않았다. 상수학자로써 象을 떠나서 易을 해석할 수 없다는 漢代의 역학을 적극적으로 연구발전 시킨 사람은 명대의 陳士元과 來知德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周易』의 卦辭 卦義 爻辭 의미를 互體 중심으로 규명한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인 曺好益과 영 정조시대에 역리와 내단학을 연구한 徐命膺 그리고 정조시대 牧民을 위하여 互體를 연구한 茶山 丁若鏞의 占辭的, 해석도 살펴보았다. 天 人 地 三才의 陰과 陽, 精神과 物質, 時間과 空間등이 여섯 개의 爻속을 待對와 流行을 하며 두루 관통할 수 있는 것은 陰陽( −)의 부호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주역 64괘를 자연의 물상과 사람을 관련시켜 해석하는 것은 의리학파나 상수학파나 다를 바가 없었다. 또한 근원을 알고자 할 때 상수학자는 물론 의리역학자들도 취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互體의 연구는 더욱 활발해지게 되었다. 互體는 初爻와 上爻를 제외한 네 효를 교호시켜 세운 中爻로써 互體의 互體(互互體)는 人才에 속하는 三爻와 四爻가 중심이 된다. 三爻와 四爻는 人才에 속하는 爻이므로 전적으로 사람을 중심으로 관계 되는 부분을 일컫는다고 할 것이다. 또한 互體論은 드러나지 않는 의미나 감추어진 복잡다단한 관계적 양상을 필요에 따라 끄집어내어 포괄적인 해석을 할 수 있으니 互體를 떠나서 易을 해석하기는 어렵다.

    영어초록

    The Hoche theory is a critical method of interpreting Book of Changes broadly, but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its systematic research.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discussion patterns of Hoche in the history of Yeokhak and propose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future Hoche theory researche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traced the origin of Hoche that started with the buci of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excavated in Yinxu, interpreted them in diverse ways for the Yeokhak-based understanding, and examined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Hoche by the periods both in China and Korea. After Jing Fang first established the Hoche theory in West Han, Zhen Zhu and Hu Bingwen more focused on 취상적 interpretations different from their masters Yi Chuan and Zhu Xi known as scholars of Yili-yi. In his Yi Xue Qi Meng, Zhu Xi stated that all trigrams operated in the four Hoches(Qian, Kun, Jiji, and Weiji). That is, he put more focus on the connections of trigrams than their interpretative aspects. Indeed Zhu Xi neither excluded Hoche nor made active use of it. In Ming Dynasty, Chen Shihyuan and Lai Zhide were active with researching and developing the Yeokhak of Han, in which the scholars of Xiang-shu said they could not interpret Yi without Xiang. In Korea, the study examined Jo Ho-ik, who was a civilian scholar in middle Joseon and investigated the Yaoci meanings of Guaci trigrams around Hoche in Book of Changes, Seo Myeong-eung, who studied Yili and Neidanxue during the reign of Kings Yeongjo and Jeongjo, and the divinatory interpretations of Dasan Jeong Yak-yong, who investigated Hoche to govern people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 Samjae of Heaven, Earth, and Man, yin and yang, spirit and matter, and time and space can penetrate into a trigram(six Hyos) through 대대 and 유행 because they are in yin and yang signs( −). Both the school of Yili-yi and the school of Xiang-shu interpret the 64 trigrams of Book of Changes in relation to the natural objects and men. As both scholars of Xiang-shu and scholars of Yili-yi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취상 in an attempt to figure out the root, the Hoche researches became even more active. Hoche is Zhongyao that is established by the reciprocal action of four Yaos except for Chuyao and Shangyao. Hoche of Hoche(Hohoche) finds its center in Sanyao and Siyao under the category of 인재. Since Sanyao and Siyao belong to 인재, they refer to the parts related to man. In addition, the Hoche theory is capable of doing comprehensive interpretations by pulling out covered meanings or complex hidden relational patterns according to the need, which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역 without Hoch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2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