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빌렘 플루서의 사진과 기술이미지 수용론 (Vilem Flusser's reception of photographical, technical imag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12
28P 미리보기
빌렘 플루서의 사진과 기술이미지 수용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문화 / 27호 / 87 ~ 114페이지
    · 저자명 : 박상우

    초록

    본 연구는 빌렘 플루서의 기술이미지와 사진을 대상으로 먼저 이미지 일반이 대중에게 어떻게 수용되는지를 밝힌다. 다음으로 기술이미지, 특히 사진이 대중에게 수용되는 방식, 그리고 사진과 텍스트가 동시에 수용되는 방식을 사진 문맹이라는 현상을 통해 살핀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문맹과 장치 지배의 근본 원인을 추적하고 이를 벗어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은 텍스트를 역사적, 비평적으로 수용한 반면 이미지를 마술적, 제의적으로 수용한다. 인간이 이미지를 마술적으로 수용한 것은 이미지의 시공간 세계가 마술적이기 때문이다. 텍스트의 시간이 일직선이라면 이미지의 시간은 순환적이고, 텍스트의 공간이 의미 차원에서 인과적이라면 이미지의 공간은 상호적이다. 둘째, 이미지의 마술적 수용은 이미지 문맹, 사진 문맹을 낳는다. 사진 문맹이 나타난 근원은 이미지의 마술적 속성이 불러일으킨 이미지 독해의 애매함과, 사진행위의 대중화를 낳은 장치의 자동화에 있다. 그리고 개념적 코드인 텍스트는 인간을 사진 문맹의 상태에서 결코 구원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는 텍스트의 설명적 기능이 이미지의 마술적 기능에 종속되어 있으며, 더구나 현대인은 미디어에서 텍스트를 아예 독해하려 하지 않고 이미지만을 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플루서는 이미지 문맹과 장치의 자동화에 굴복하지 않고 저항의 전략을 제시한다. 사진가는 사진 장치 프로그램에 반하는 사진을 생산함으로써 사진 문맹을 타파하고 장치 일반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진가는 장치, 프로그램, 자동화가 지배하는 후기 산업사회에서 인간의 상상력과 지혜가 설자리, 즉 인간 자유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a critical analysis of the technical image and photographic image, which are Vilem Flusser's key concepts from a point of view of image reception. By doing so, it tries to discover how image in general is received by its regarder and how photography is received by the mass. It also tries to uncover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image illiteracy and apparatus control, and to find the solution to overcoming them. The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umans receive the text in a historical and critical way, while the image in a magical and ritual way. It is because the image's space-time world belongs to a magical world. The text's time is linear, while image's time is circular. The text's space is causal in terms of signification, while the image's space is reciprocal. Second, the magical reception of the image brings about image illiteracy and photo illiteracy. The basic cause of photo illiteracy derives from the difficulty of image lecture, and from the apparatus automatization producing the democratization of photographic acting. The text belonging to a conceptual code can not save humans from their situation of photo illiteracy. It is because the explicative function of the text is subjugated by the magical function of the image. Moreover, the people today only want to see the image instead of trying to read texts in media. Third, Flusser does not give way to image illiteracy and apparatus automatization. Instead he suggests a defense strategy. A photographer can break down photo illiteracy and resists apparatus control in general. By doing so, he or she can prepare the space for human liberty, that is to say, the space for human imagination and intelligence in post industrial society in which apparatus, program and automatization domin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