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르트르 실존주의와 앙가주망론의 한국적 반향 (The Repercussions of the Korean Intellectuals to the Sartrian Existentialism and his Theory of Engagemen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12
29P 미리보기
사르트르 실존주의와 앙가주망론의 한국적 반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3권 / 3호 / 195 ~ 223페이지
    · 저자명 : 정명교

    초록

    해방 이후의 한국인 및 한국문학에 실존주의가 끼친 영향은 아주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영향은 오늘날까지도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실존주의의 한국적 영향력이 사르트르에 집중되고 있음을 밝히고 사르트르 실존주의 및 그 문학적 이론인 앙가주망론이 수용되거나이해된 경로를 추적하여 그 이해 양상을 밝히고자 했다. 사르트르 실존주의는 해방 이후 세 가지 경로를 통해서 수용되었다. 첫째는 해방 직후새로운 이념형을 모색하는 차원에서였고, 두 번째는 6.25 전쟁의 참화가가져다 준 정신적 공황을 대변할 수 있는 철학을 만났기 때문이었고, 세번째는 참여문학론의 목청이 드높아지는 정황 속에서 참여문학론의 대표격으로서 앙가주망론이 검토된 경우였다. 이 아주 이질적으로 보이는 세 가지 경로에서 한국인들은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의지에 의해 실존주의로 이끌렸으니, 그것은 새로운 생의 의지를 실존주의가 제공해준 덕분이었다. 따라서 ‘허무’, ‘절망’의 철학적 대응물로서의 실존주의라는 종래의 상투적 인식은 수정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 실존주의, 특히 사르트르 실존주의는 첫 번째 경로와 세 번째 경로에서 모두 비판되었는데, 그 근거는 모두 ‘주관적 관념론’이라는 판단에 의해서였다. 그런데 이 판단의 정치적 배경은 극단적으로 상이했는데, 첫 번째 경로에서의 사르트르 비판은 공산주의에 근거한 것이었던 데 비해, 세 번째 경로에서의 사르트르 비판은 그의 앙가주망론이 공산주의에로 경사될 것을 우려한 반공주의적 태도에 의한 것이었다. 이 정치적으로 상극인 두 입장이 함께 찾아낸 사르트르 실존주의의 ‘주관적 관념론’은 따라서 그 실내용의 부실성을 의심케 하였으니, 첫 번째 입장은 막연한 유토피아주의에 근거한 졸속적 인식에 그치고 있었으며, 세 번째 입장 역시 공동체적 결속에 대한 심리적 집착이 촉진한 주관적 편견에 의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피상적 이해가 오늘날까지도 한국 지식인들의 심리를 장악하고 있다는 것으로서, 그것은 사르트르 실존주의가 출현한 계기, 즉 개인과 집단을 동시에 구출하고자 하는 논리를 세우려 했던 의도와 그 실천을 정당히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사르트르 이전의 정신적 수준에 머물게 하고 있다. 따라서 사르트르를 온당하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집단에 대한 근본적으로 새로운 논리적 사유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Existentialism is a thought which has been so influential on Korean Intellectuals. Especially the latter has been interested in that of Jean-Paul Sartre and his theory of Engagement.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3 ways through which the existentialism and the theory of Engagement have been introduced and the meaning of these ways. At first, in the late of 1940s, Koreans met the existentialism on their search of ideal type that would be the spiritual criterion of the new emancipated society from the long colonized period. Secondly, during the 1950s, they found the existentialism as the correlative of the devastated mind, sense of despair and futility from the Korean War. Thirdly, in the early 1970s, Korean intellectuals examined the Sartrian theory of Engagement as a representative of the ideologies which are insisting the participation in the reality of the literature.
    However, in these heteroclite process, the Koreans were attracted to the existentialism by the same impulsion that is the will to new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ard the cliché that ‘the existentialism was related to the desperate feelings in front the radical situ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process, the Koreans assumed the critical attitudes against the existentialism. That is, they didn’t consider the existentialism as a reference to build the spiritual touchstone of the new Korea. In the third process too, the some intellectual group refuted fiercely the theory of Engagement in literature being seized with terror by the hunch that the theory of Engagement in Sartrian existentialism could slide down to the communism. The two attacks started at the absolutely different political and philosophical grounds. The intellectuals in the liberation period had been sucked into the communism as the alternative system of the Modernity. Those in the early 1970s, as survivors of the war against the communists of North Korea, were afraid of the affinity between Sartrian Engagement theory and Socialist Realism.
    Nevertheless, these two attitudes criticized the position of Sartre by the same argument that asserted that the thought of Sartre falls under the subjective idealism. What does this bizarre accord between the incompatibles attitudes mean? This resulted from the equal naive consideration into which two antagonistic philosophies were taking the relation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nd the illusion they walked into by their obstructed logical structure. These naive attitudes retreat before Sartrian existentialism under the cause of passing it ahe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