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족전통화성론으로 본 김순남의 <산유화> (Sannyuhwa: Kim Sun Nam and National Traditional Harmon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06
29P 미리보기
민족전통화성론으로 본 김순남의 &lt;산유화&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북문화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북문화예술연구 / 16호 / 209 ~ 237페이지
    · 저자명 : 강현정

    초록

    김순남을 우리나라 근대 창작음악사에서 대단히 의미 있는 작곡가 중하나라고 이야기했을 때, 그 까닭은 민족적인 음악어법으로 서양음악을 수용한 점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작곡을 하는 방법으로는 서양의 오선보를 통해서 선율, 리듬, 화성 등을 이용했지만 그 뿌리에는 우리나라 민족 전통음악의 어법이 중심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김순남의 민족전통음악 어법 중 화성에 집중했다. 그래서 김순남의가곡 중 가장 조성적 이라 할 수 있는 <산유화>를 살펴보았다. <산유화>의 화성은서양기능화성의 어법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서양 화성어법이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그리고 서양 현대화성의 부가화음이나 변화화음으로만 해석할 수 도 없었다. 그래서 방법적인 틀이 다른 민족전통화성론의 하나로 분석을 해 보았다. 민족전통화성 이론 분야는 그동안 여러 학자들이 정립해 왔다. 그 중 북한의 음악학자 황민명의 ‘조선민요조식에 기초한 민족 전통화성’은 가장 근래의 이론이거니와 학문적 완성도가 높다고 판단해서 분석의 틀로 삼았다. 분석의 내용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황민명의 민요조식에 따른 민족전통화성론으로 본 <산유화>의 시작과 끝을 이루는 화음은 Ⅰ화음이었다. 이는 서양음악에서 Ⅰ화음, 즉 으뜸화음의 역할이 민족전통화성에서도 같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것은 더 나아가 서양의 화성이든 전통음악의 화성이든 조성의 조직이 기본에서는 같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조성을 나누고 이해하는 체계가 다를 뿐이지 조직적으로 음을 구성하는 구조로서의 조성감은 중심음의 역할이 있고 그것이 주요음으로 종지 형태를 이룬다는 점에서 같다는 것이다. 둘째, 화음의 쓰임새로는 민족전통화성론의 기본형 3화음과 5화음이 번갈아 가면서 쓰이고 있었다. 그러니까 출현화음의 구조는 민족전통화성과 일치했다. 셋째, 화음의 형태로만 분석해 보면 불규칙하지만 민족전통화성론의 기본형 계면조식 3화음과 5화음 원형에서 <산유화>화음의 형태를 거의 다 찾을 수 있었다. 이는 김순남의 가곡 <산유화>는 서양의 기능화성이나 현대화성의 조직에서 출발하는 화음구조가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 민요의 조식체계와 들어맞는 화음을 썼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김순남의 <산유화>는 민족전통화성론을 통해 봤을 때 전통적인 민족화성의 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대로 옮겼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다.

    영어초록

    Kim Sun Nam is a highly important composer in Korea’s history of modern creative music. He adopted Western music using musical language that reflected Korean traditional sounds. He used Western notation, staffs, to write music using Western concepts such as melody, rhythm and harmony, but the musical langua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at the core of his compositions. The study focuses on the harmony of Kim Sun Nam’s musical language in his adoption of national traditional music, which is why Sannyuhwa, the most tonal piece among his Gagok, was chosen as the subject. The musical language of Western functional harmony rarely surface in Sannyuhwa, which may be Kim’s intentional decision to avoid such techniques. This makes the piece near impossible to analyze using only Western modern harmony concepts such as added chord or altered chord and it became necessary to adopt a tool with a different methodological structure, which is why one of the tools used in the theory of national traditional harmony was utilized. The theory of national traditional harmony was established by the contribution of many scholars. In this study, “National Traditional Harmony based on Chosun Minyo Chosik”, a theory by North Korean musical scholar Hwang Min Myeong was used to analyze the music, since it is one of the more recently published theories and is widely recognized for its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harmony used to mark the beginning and ending of Sannyuhwa when applying National Traditional Harmony based on Chosun Minyo Chosik was chordⅠ. In other words, chordⅠ in Western music, which is the tonic chord, serve the same function in national traditional harmony. This suggests that the basic structure of tonality may be the same for harmony in Western music and Korea traditional music. The system that categorize and interpret tonality may be different but the structures that systemically compose the tone are the same. The key tones play their role and later compose a cadence as main tones. Secondly, in terms of chord use, the third and fifth basic chords of the National Traditional Harmony based on Chosun Minyo Chosik appear alternately. The sequence structure of chord appearance follows that of National Traditional Harmony based on Chosun Minyo Chosik. Lastly, the chords may seem irregular based on its form, but almost every form of chord used in Sannyuhwa can be found in the third and fifth chord of the basic Gyemyeon Chosik of National Traditional Harmony based on Chosun Minyo Chosik. This indicates that Kim Sun Nam’s Sannyuhwa utilized harmonies which fit the Chosik system of Korea tradition Minyo, not the Western chord structures rooted in functional harmony or modern harmony. In conclusion, Sannyuhwa is a fine illustration of the structures of traditional national harmony based on the theory of National Traditional Harmony based on Chosun Minyo Chosik. It closely reflected the traditional structure with many of its parts being identic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북문화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