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의 심신 수양론과 체육철학적 함의 (Yulgok’s Mind and Body Training Theory and the Impl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06
23P 미리보기
율곡의 심신 수양론과 체육철학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76호 / 167 ~ 189페이지
    · 저자명 : 김부찬

    초록

    율곡 이이(栗谷李珥)는 퇴계 이황(退溪李滉)과 더불어 조선 성리학을 정초한 인물로서 그의 사상은 이기지묘(理氣之妙), 기발이승(氣發理乘), 이통기국(理通氣局) 등을 통하여 알려져 있다. 본고는 체육철학적 관점에서 율곡의 심신관과 심신수양론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육학의 한 분야이자 응용철학의 하나로서 체육철학은 근래 한국체육학계에 있어서 중요한 학문분야로 정립되어가고 있지만 그 주된 이론체계는 서양철학의 이론에 바탕하고 있다. 특히 서양 근대철학의 인간론 및 심신관은 우리의 전통적인 사유와 단절되어 있어서 한국인에 맞는 체육철학의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유교 및 불교의 인간관과 심신관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그런데 엄밀한 의미에서 율곡의 학문적 관심은 체육학의 대상인 신체와 신체활동과는 동떨어져 있다. 율곡은 한평생 내성외왕(內聖外王)을 목표로 하여 성리학적 이론을 정립하고, 또 경세의 실천을 겸했던 유학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심신관과 심신수양론 속에는 몸과 몸의 움직임을 통해 완전한 인간이 되고자 하는 철학적 성찰이 담겨있으며, 이는 신체의 활동과 인간됨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체육철학의 관점과 연관되어져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 아래 본고에서는 율곡의 저서 가운데 『성학집요(聖學輯要)』와 『격몽요결(擊蒙要訣)』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심신관과 수양론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어 이것이 지닌 체육철학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특히 수기치인(修己治人) 가운데 수기(修己)에 해당하는 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에 대한 율곡의 해석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율곡이 제시한 성실(誠實)․교기질(矯氣質)․양기(養氣)․검신(檢身) 등에 주목하여 그의 심신관과 수양론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체육철학의 입장에서 율곡의 심신관 수양론이 지닌 함의와 현대체육철학에 있어서 율곡의 심신수양론이 지닌 의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Yulgok-Yi I, a Confucian scholar, developing Chosun Neo-Confucianism with Toegye–Yi Hwang, was well-known for his thought, Yigijimyo(理氣之妙), Gibaliseung(氣發理昇), and Yitonggiguk(理通氣局), et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Yulgok’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in the angle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The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a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nd an applied philosophy,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field of study in the world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but the main theory is based on the Western philosophical theory. Especially, the viewpoint of human and mind and body of Western modern philosophy is broken off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 So the study on the viewpoint of human and mind and body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is requested to set up the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fitting to Korean.
    In a strict sense, the interest of Yulgok’s study is far away from body and physical activity,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Yulgok had established Neo-Confucianism to achieve Neseong-Oewang(內聖外王) in his whole life and practiced governing philosophy. Nevertheless there are philosophical introspection to be a perfect human being through the body and its activity in hi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It i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taking a serious view o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completion of humanity.
    Having those critical mind,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hi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based on his writings, 『Seonghakjibyo』(『聖學輯要』),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and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I paid attention to his some concepts, sincerity(誠意), right mind(正心), moral training(修身), cultivating Gi(養氣), body examination(檢身), etc.
    I studied the implication of Yulgok’s viewpoint of mind and body and its training theory from the angle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his thought from the modern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