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신화화론(Remythologization)에 관한 분석비평 연구― 케빈 벤후저(Kevin J. Vanhoozer)의 재신화화 신학방법론을 중심으로 (A Critical Analysis on Kevin Vanhoozer's Remythologizing Theology)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7.06
50P 미리보기
재신화화론(Remythologization)에 관한 분석비평 연구― 케빈 벤후저(Kevin J. Vanhoozer)의 재신화화 신학방법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47호 / 49 ~ 98페이지
    · 저자명 : 김성원

    초록

    재신화화 신학은 불트만의 비신화화론을 비평하고 포스트-바르트(post-Barthian) 신학적 입장에서 성서의 신적소통행위(divine communicative action)의 타당성과 실제성을 천명하기 위해서 주장한 것이다. 본 논문은 벤후저가 주장하고 있는 재신화화론에 대한 내용을분석하고 비평하면서 신화에 대한 이해와 포스트모던 해석학적 신학방법의 일보 진전을 위한 분석비평연구이다.
    벤후저의 신학방법은 신학이란 신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신을 경험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에 의하면 헤겔이 실수한 것은 성서의 신-드라마(theo-drama)를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진리로 만든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신의 의사소통 행위에 관심을갖고 다양한 신-인 대화를 해석하는 것이 재신화화 신학의 핵심적 주장이다.
    재신화화 신학은 신화론으로 다시 회귀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불트만의 비신화화론에서 놓친 “말하는 행위자”(speech agent)로서의신을 다시 발견하고 “신적인 대화”(divine discourse)로서의 성서를되살리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벤후저는 자신의 재신화화 신학방법은 불트만의 비신화화론과 정반대되는 것으로 자신의 신학방법을 분명하게 천명하고 있다. 벤후저가 새롭게 주장하고 있는 재신화화론, 신-드라마론, 의사소통의 행위론 등을 살피면서 그의 신학방법론에 대한 분석비평을 시도하고, 차세대 신학방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 기반연구를 시도하였다.
    정경-언어적 접근을 하면서 비정경적 도구인 아리스토텔레스의mythos를 들여와서 신학적 도구로 삼는 것은 재신화화 신학 자체의비연속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신의 의사소통의 실제적 사실주의를주장하면서 이차성의 의미를 담고 있는 드라마 유비를 사용한 것도논란의 여지가 있다. 제일의 신학으로서 성서텍스트 중심의 신학을주장한 것은 논리적이지만 성서텍스트를 넘어서 신의 은총이 내재되어 있는 자연과 전통과 인간의 경험도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을 소홀히 다룬 면이 있는 것을 다루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critically analyze primarily on Kevin Vanhoozer's remythologizing theology for an advancement of Biblical hermeneutics for the postmodern generation. Indeed he has done outstanding works on an elaboration for enlightening of the Divine communicative action of the Biblical text. Vanhoozer utilizes Balthasar's theo-drama and Aristotelian mythos for proficient elucidation of the divine communicative action in the Canon.
    As he mentioned, his remythologizing theology is a completely opposite approach to demythologization of Rudolf Bultmann's method, but it does not necessarily denote for him to restore mythologization again at all. Rather Vanhoozer did severe critic on Bultmann's demythologization method, which misses the divine speech agent and divine discourses in the Biblical text. Remythologizing theology contains various insightful ideas, luminous linguistic skills, and extraordinary theological augmentations regarding the divine speech agent and divine discourses. His fine and serious elaboration for the divine communicative action within his theo-drama should be positively appraised.
    However, this essay points out several critical issues of his theology, that even though Vanhoozer's theological method is a canonical-linguistic approach, he utilizes non-canonical notion of Aristotelian mythos so convincingly, which entails contradiction between canonical and mythos within his own theological scheme.
    Vanhoozer emphasizes practical actuality of the divine communicative action, but he excessively utilizes secondary and circuitous device of analogia dramatis. Unnecessary employment of the terms of mythos and drama evokes a perplexity of consistency with conventional and practical ministry within the church. This inquiry suspects that still Vanhoozer could communicate his theology of the divine communicative action with contemporary audience without consuming those terms.
    Vanhoozer focuses on the Biblical text as the first subject of doing theology, because the text is the only source of theology, that is analogous to the philosophical method of Derrida who postulated that language is the only and prime source of philosophy. Accordingly, as he focused only on the Text, just as Barth had made mistakes, Vanhoozer did not pay heed much to the nature and human being within the created world as the sources of th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