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과 사상철학(四象哲學)의 마음론 고찰 (A Study of The Great Learning and the theory of maeum in the Sasang philosoph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2.10
23P 미리보기
『대학』과 사상철학(四象哲學)의 마음론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59권 / 75 ~ 97페이지
    · 저자명 : 손예진, 임병학

    초록

    본 논문은 대학의 학문적 내용을 근거로 사상철학의 마음론과의 상관성 을 고찰하였다.
    사상철학은 선진유학에 연원을 두고 있으며, 대학에서는 삼강령에서 명 덕(明德)을, 팔조목에서 성의(誠意)․정심(正心)을, 그리고 분치(忿懥)․공구(恐懼)․ 희호(喜好)․우환(憂患)의 사심설(四心說) 등을 통해 마음론을 밝히고 있다.
    먼저 사상철학의 핵심인 사(事)․심(心)․신(身)․물(物)은 대학의 물유본말(物 有本末)과 사유종시(事有終始), 그리고 팔조목에서 정심과 수신(修身)에 직접 적인 연원을 두고 있다. 또 사․심․신․물과 팔조목을 직접 연관시켜 논하고 있다. 사(事)와 치국․평천하, 심(心)과 격물․치지, 신(身)과 성의․정심, 물(物)과 수신․제 가를 결부시켜, 인간 본연의 성(性)과 사물에서 세상과 나라에 이르기까지 다스 리는 법을 논하고 있다.
    또한 대학의 팔조목 성의에서는 오악취(惡惡臭)와 호호색(好好色)을 밝 혀, 사상철학의 호선지심(好善之心)과 오악지심(惡惡之心)으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호선과 오악지심은 사상인의 기본적인 애(哀)․노(怒)․희(喜)․락(樂)의 성(性)․정기(情氣)와 폐(肺)․비(脾)․간(肝)․신(腎)의 장국 대소(大小)를 통해 사상인 의 마음론으로 전개되는 것이다.또 대학에서는 호(好)와 오(惡)를 확장하여 좋아하고 시기하는 마음을 밝 히고 있는데, 이는 「광제설」의 호현락선(好賢樂善)과 투현질능(妬賢嫉能)의 마 음으로 전개되고 있다. 오악(惡惡)과 호호(好好)의 마음 작용은 음양(陰陽)의 이 치에 따른 것으로 인간의 기본적인 마음을 밝힌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팔조목 정심에서는 네 가지 바르지 못한 마음을 분치․ 공구․호락․우환의 사심(四心)으로 밝히고 있다. 이는 사상인의 애․노․희․락의 정 기가 바르지 못할 때 드러나는 마음인 분노(忿怒)․비애(悲哀)․희호(喜好)․치락(侈 樂)과 서로 짝이 된다. 태음인의 치락은 호락, 소양인의 비애는 공구, 소음인의 희호는 우환, 태양인의 분노는 분치와 각각 만나게 된다.
    또 이 사심설은 사상인의 항상 있는 마음인 겁심(怯心)․구심(懼心)․급박지심 (急迫之心)․불안정지심(不安定之心)과 대응되어, 태음인의 겁심은 호락, 소양 인의 구심은 공구, 소음인의 불안은 우환, 태양인의 급박은 분치와 각각 만나게 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maeum in Sasang philosophy and the Great Learning's academic content is investigated. The Sasang philosophy is based on the advanced Confucianism. In the Great Learning, the theory of maeum come to light through brilliant virtue(Myeongdeok) in SamGangRyeong, sincere in their thoughts(Seongui)․rectified their hearts(Jeongsim) in the clause of eight, and SaSimSeol of wrath(Bunchi)․terror(Gonggu)․pleasure and favorance(Huiho)․anxiety(Uhwan) First of all, Sa․Sim․Sin․Mul which are the core of the Sasang philosophy are originated in the Mulyubonmal and Sayujongsi and the Rectified their hearts(Jeongsim) and Moral training(Susin) in the clause of eight of in the Great Learning directly. And discus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a․Sim․Sin․Mul and the clause of eight directly. It is related that Sa and well their States & whole Kingdom(Chiguk․Pyeongchunha), Sim an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 extension of knowledge(Gyeokmul․Chiji), Sin and the sincere in their thoughts & rectified their hearts(Seongui․Jeongsim), Mul and 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Susin․Jega) respectively, and then discussed on the method of control from human nature and things to world and nation.
    In addition, We can know that Disliking stench(Oakchwi) and Liking good color(Hohosaek) are defined in the sincere in their thoughts(Seongui) in the clause of eight of the Great Learning, and then they are developed into maeum of hoseon and maeum of oak.
    The maeum of hoseon and maeum of Oak is developed into the theory of maeum of the Sasangin according to the Seonggi and Jeonggi of the Sorrow․Anger․Pleasure․Joy and the size of organs of the lungsㆍspleenㆍliverㆍkidneys.
    The Feelings of love and envy come to light through enlarging favorance and disfavor in the Great Learning, it is developing into the maeum of Hohyunraksun and Tuhyeonjilneung in the Gwangjeseol. The working of the maeum of disfavoring bad and favoring good conforms to the rule of yin and yang, it makes known human basic maeum.
    Finally, The four improper maeum become known as the four maeums of wrath․terror․enjoyment․anxiety in the Rectified their hearts(Jeongsim) in the clause of eight of the Great Learning. These are coupled with anger(Bunno)․sorrow(Biae)․pleasure and favorance(Huiho)․extravagance and joy(Chirak) that revealed from improper Maeums of Jeonggi of the sorrowㆍangerㆍpleasureㆍjoy.
    The Chirak of Taeeumin is connected with Horak, Biae of Soyangin is connected with Gongu, Heuho of Soeumin is connected with Uhwan, Bunno of Taeyangin is connected with Bunchi respectively.
    Besides, the Sasimseol is responding to the always maeums that fright(Geopsim)․fear(Gusim)․ urgent maeum(Geupbakjisim)․uneasiness(Bulanjeongjisim), and then the fright of Taeeumin is connected with enjoyment(Horak), the fear(Gusim) of Soyangin is connected with terror(Gongu), the uneasiness(Bulan) of Soeumin is connected with anxiety(Uhwan), the urgent maeum(Geupbak) of Taeyangin is connected with wrath(Bunchi) respe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