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첼의 인간론에 나타난 인간 감성 모델 (Menschliches Emotionsmodell in Wezels Anthropologi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0.12
22P 미리보기
베첼의 인간론에 나타난 인간 감성 모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79권 / 79호 / 211 ~ 232페이지
    · 저자명 : 조우호

    초록

    우리에게 후기계몽주의의 특수한 인간 유형을 보여주는 특징적 소설 『벨페고어 Belphegor』(1776), 『토비아스 크나우트 Tobias Knaut』(1773-1776), 『로빈슨 크루소 Robinson Krusoe』(1779-1780), 『빌헬미네 아렌트 Wilhelmine Arend』(1782) 등의 작가로 알려진 요한 칼 베첼의 인간론을 알려주는 대표 연구서는 『인간 지식에 대한 시론 Versuch über die Kenntniß des Menschen』(1784/1785)(이하 『시론』)이라 할 수 있다. 베첼은 이 『시론』에서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당대까지의 철학적, 자연과학적 탐구를 이어받으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경험론적 인간학을 발전시키고 있다.그의 『시론』과 연관되는 당대 자연과학 내지 의학 연구로는 티소 Samuel Auguste Tissot의 『신경 및 신경 장애에 대한 치료 Traité des nerfs et de leurs maladies』(1778), 취케르트 Johann Friedrich Zückert의 『열정에 관한 의학 및 도덕 논고 Medicinische und moralische Abhandlung von den Leidenschaften』(1764) 등이 있다. 또한 보넷 Charles Bonnet의 『자연에 대한 관찰 Betrachtung über die Natur』, 할러 Albrecht von Haller의 『인간 신체의 감각적이고 자극적인 부분에 대하여 Von dem empfindlichen und reizbaren Teilen des menschlichen Körpers』, 플라트너 Ernst Platner의 『의사와 현자를 위한 인간학 Anthropologie für Ärzte und Weltweise』, 줄처 Johann Georg Sulzer의 『유쾌하고 불유쾌한 감정의 근원에 대한 연구 Untersuchung über den Ursprung der angenehmen und unangenehmen Empfindungen』 등도 같은 맥락이다.
    『시론』에서 인간의 감정 Empfindung에 관한 이론은 그의 인간 탐구의 핵심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의 인간론이 가지는 인문학적 의의를 잘 보여주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을 중심으로 몇몇 연구들이 있었지만 이런 맥락을 정확히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베첼의 『시론』에 나타난 인간론이 아쉽게도 아직 소개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맥락에서 그의 『시론』을 고찰하여 18세기 후반 독일(문학)의 특징적 인간론의 한 예를 보여주고자 한다.

    영어초록

    Johann Karl Wezels Versuch über die Kenntniß des Menschen ist eine Untersuchung zur Erforschung der Natur des Menschen. Er ist eine Anthropologie, welche die menschliche Empfindung und das Empfindungsvermögen des Menschen als die Haupteigenschaft des Menschen darstellt, die den Menschen zum Menschen macht.
    Wezel erklärt, was die Empfindung des Menschen sei und wie sie entsteht und klassifiziert wird. Ihm zufolge entsteht die Empfindung zunächst durch die sinnliche Wahrnehmung der äußerlichen Gegenstände. Nach der sinnlichen Wahrnehmung jedoch kann sie durch das Gehirn zu einer anderen Empfindungsart werden. Er behauptet, auf diese Weise könnten sich die sinnlichen Empfindungen weiter verändern. So entstehen schließlich die verschiedenen Empfindungsarten bzw. Emotionen wie Sensation, Gefühl, Affekt, Temperament, Disposition und Laune etc.
    Was er in Versuch über die Kenntniß des Menschen behauptet, ist, die Empfindung des Menschen sei als ein Wesensbestandteil des Menschen zu verstehen. Sie ist also das Hauptmerkmal eines Menschen und ein Menschenelement, das mit dem Denken bzw. Denkvorgang verbunden ist. Das Empfindungsvermögen sei ebenso wichtig wie das Denk- und Vorstellungsvermögen des Menschen bzw. in Einzelfällen sogar noch wichtiger. Das ist das anthropologische Empfindungs- bzw. Emotionsmodell in Wezels Versuch über die Kenntniß des Mensch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