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슝스리(熊十力) 역학(易學)의 체용론 연구 (A Study on Xiong-shili's Theory of Substance and Function in IChi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0.05
24P 미리보기
슝스리(熊十力) 역학(易學)의 체용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51권 / 181 ~ 204페이지
    · 저자명 : 천병돈

    초록

    슝스리(熊十力)는 량수밍(梁漱溟), 마이푸(馬一浮), 허린(何麟), 장쥔마이(張君勱)와 함께 현대신유가 제1세대에 속한 학자 중 가장 대표적인 사람이다. 슝스리는 유가적 관념의 피폐라는 중화민족의 문화적 위기에서 유가사상의 현대화를 추구하고자 했다. 슝스리철학의 근본 문제는 ‘체용’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의 문제다. ‘본체’란 일반적으로 현상을 초월하여 객관적이고, 동시에 부동의 실체로 규정된다.
    슝스리가 말하는 ‘본체’는 강건하게 생생불이한 역동적 ‘본체’다. ‘용’은 본체 그 자체의 ‘용’이다. 다시 말하면 본체와 전혀 관계없는 ‘용’이 아니라, ‘용’ 자체가 또한 본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점이 슝스리 ‘체용’론의 특징이다. ‘용’은 주자학적으로 말하면 형이하에 속하고, 리에 의해 다스려지는 대상이며, 허무한 것(불교적 관점)이다. 그러나 슝스리에 있어서 ‘용’은 본체 그 자체의 ‘용’이다. 다시 말하면 본체와 전혀 관계없는 ‘용’이 아니라, ‘용’ 자체가 또한 본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점이 슝스리 ‘체용’론의 특징이고, 기존의 ‘체용’론과 다른 점이다.
    슝스리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체용 이론을 확립한 후, 그것의 이론적 근거를 『주역』을 통해 증명했다. 그래서 슝스리의 역학은 의리역에 속한다.
    ‘본체’로서의 태극․건원은 신묘하고 역동적이며, 형체도 없고, 생생불식하는 특성을 지닌 만사만물의 근원이다. 이처럼 슝스리는 본체의 측면에서 오로지 ‘일원’만 용납했다. 이 ‘본체’는 죽어있는 움직이지 않는 사물이 아니기 때문에 움직인다[動]. 그 ‘움직임의 양상’은 비록 신묘하여 예측 불가이지만 정해진 두 가지 양상, 즉 ‘일음일양’(‘일흡일벽(一翕一闢)’․‘일인일의(一仁一義)’․‘일강일유(一剛一柔)’)의 상반상성(相反相成) 법칙에 따라 드러난다.

    영어초록

    Xiong-shili is the most representative scholar in the first generation of the modern Neo-confucianism. Xiong-shili sought to modernize Confucianism in the cultural crisis of the Chinese people, the devastation of the Confucian idea.
    The fundamental question of Xiong-shili's philosophy is how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and Function’. Xiong-shili's Substance is a dynamic Substance. Function is a function of Substance itself. In other words, it is not Function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Substance, but Function itself is also the Substance.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Xiong-shili's theory of Substance and Function.
    Xiong-shili has established his own theory of Substance and Function. And he proved this theory through the IChing (易學). So Xiong-shili's IChing belongs to the Moral Principle Theory of IChing.
    Substance refers to TaiJi、Qianyuan. This is the source of all things with mysterious, dynamic, shapeless, and lifeless qualities. As such, Xiong-shili only tolerated one source in terms of Substance. This Substance moves because it is not a fixed and immovable Substance. The behavior of the Substance is strange and unpredictable. However, there are two aspects. That is, 'suddenly becomes Yin and suddenly becomes Yang (一陰一陽)'(suddenly closed and suddenly open (一翕一闢); suddenly benevolent and suddenly righteous (一仁一義); suddenly strong and suddenly soft). The Substance reveals itself according to the law of Rejecting each other and completing each other (相反相成).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