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커뮤니케이션 신학의 발전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Methodology of a Theology of Communicat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03
41P 미리보기
커뮤니케이션 신학의 발전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188호 / 81 ~ 121페이지
    · 저자명 : 권구식

    초록

    가톨릭교회는 오늘날 새롭게 펼쳐지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흐름 속에서, 신앙의(에 대한/안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추구하는 목표를 향해 새로운 길을 개척해야 하는 절박한 순간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교회는 ‘새로운 문화 속에 구원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통합’시켜 나가기 위한 ‘새로운 방법과 표현’을 지속적으로 찾아 나서야 한다. 이는 교회가 복음의 생명력 있는 본성을 새롭게 발견하고 재창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커뮤니케이션 신학(Theology of Communication)은 교회가 오늘날 신앙을(안에서) 왜 ‘새로운 열정, 새로운 방법과 표현으로’ 커뮤니케이션해야 되는지를 설명하고 그 정당성을 제공해야 한다. 이는 교회의 문헌들, 특히 사목 훈령 『새로운 시대』 8항과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가르침이 강조하는 사항이다. 그리고 이러한 신학은 교회가 세상에서 마주하는 ‘커뮤니케이션 맥락’을 신학적으로 성찰하고, 다가올 미래를 통찰함으로써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신학은 ‘사회의 이론’에 대한 철저한 연구와 ‘교회의 가르침’에 대한 검토와 나아가 새로운 ‘사회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영향력’에 대한 분석이 ‘학제 간 연구’(學際間硏究, interdisciplinary studies)의 방식 안에서 ‘상호 내밀하고 비평적으로 융합’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가톨릭교회 안에 요청되는 ‘커뮤니케이션 신학’을 주장하고, 그 신학의 발전을 구성하는 ‘범위와 특수한 방법론’에 대해 제안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삼는다. 커뮤니케이션 신학이란 하느님과 인류 그리고 인간과 인간(혹은 공동체) 사이의 ‘친교 실현’이라는 목표 아래, ‘변화하는 사회 커뮤니케이션’ 주제에 관한 모든 논의를 ‘학제 간 연구방식’으로 성찰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커뮤니케이션 신학은 넓게는 ‘사목신학’의 범주에 속하지만 오늘날 사회 커뮤니케이션의 역동성에 비추어 볼 때, ‘특수한 신학’의 한 분과를 차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신학’은 이미 태동했고 발전했지만, 그 본질상 ‘역동적’이고 급변하는 ‘동시대적 환경’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 ‘커뮤니케이션’을 다루기 때문에, 여전히 ‘과정 중에 있는 신학’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oday, the Catholic Church is confronting a desperate time when it must pioneer a new way towards an objective that the communication of faith pursues in the various new “socio-cultural” flows. Thus the church must continuously seek new methods and new expressions to unify the message of salvation efficiently in the new culture. This means that the Church must find anew the vital nature of the gospel and a new re-creation. In this context, a theology of communication must explain why the church today needs to communicate the faith with new ardor, methods, and expressions, while providing justification for the process. This is the aspect that Church literature, especially Pastoral Instruction, Aetatis Novae (n. 8) and the various teachings of Pope John Paul Ⅱ emphasize. Also, this theology could be realized more effectively by theologically reflecting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that the church faces in the world and by taking a long range view of the future. Thus, the theology of communication requires a thorough study of secular theories and an examination of Church teachings. In addition,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new social communication instruments needs to mutually converge with other interdisciplinary study methods, with a critical confidentiality. Therefore, the fundamental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claim the ‘Theology of Communication’ demands in the Catholic Church and suggests a ‘specific methodology and scope’ that comprise the development of theology. Meanwhile, a Theology of Communication is a study that is introspective about all discussion on the theme of “Changing Society’s Communication” us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with the objective of “the fulfillment of communion” between God and humanity, and among humans themselves. In this respect, broadly speaking, a Theology of Communication belongs to the theology of the pastoral care category but, when it is viewed by today’s social communication dynamic, it could also comprise a part of a special theology. Although this theology has already grown and developed, since it deals with communication and a close relationship to the contemporary environment which is “dynamic” and rapidly changing due to its natu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theology still in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