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선영의 비평론 연구 – 포스트리얼리즘의 선구 (A Study on Lee Sun-young’s Criticism - A Pioneer of Post-Realis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4.10
28P 미리보기
이선영의 비평론 연구 – 포스트리얼리즘의 선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84호 / 57 ~ 84페이지
    · 저자명 : 오문석

    초록

    이 글은 1980-90년대 이선영의 비평론을 살피고 있다. 해직 교수 시절(1980-1984) 뒤늦게 박사학위 논문을 수여받았을 때 그의 나이는 50을 넘기고 있었다. 박사논문의 대상은 구한말에서 1910년대까지 ‘문학비평의 역사’로서, 특히 ‘효용론’이 그 중심을 차지한다. 아직 리얼리즘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이전이었으므로, 박사논문은 효용론의 역사를 통해 리얼리즘 이론의 내재적 발생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리얼리즘은 비록 근대적 개념이지만 그 정신은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그의 비평론이 내재적 발전론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제자들의 후속 연구에 힘입어 『한국 근대문학 비평사 연구』(1989)라는 결실을 이루게 된다.
    1990년대는 이선영의 리얼리즘 비평 및 연구에서 큰 변화가 발생한 시점이다. 이는 사회주의권의 몰락과 포스트 담론의 약진이라는 문화적 격변기에 대한 노학자의 반응이기도 하다. 1990년대 초반 연구년 기간에 그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정치적 무의식』(1981)을 탐독하게 된다. 그리고 그가 제임슨에서 발견한 것은 마르크시즘과 형식주의(구조주의)로 양분된 한국 비평계의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이었다. 제임슨을 따라서 그는 한국소설의 형식에 내재하는 이데올로기적, 심리적 의미를 탐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 취지가 정년 무렵에 발간된 『리얼리즘을 넘어서』(1995)라는 제목에 담겨 있다. 그의 글은 『민족문학과 근대성』(민족문학사연구소, 1995)에도 실림으로써 리얼리즘 비평의 외연 확장을 노리는 진보적 소장학자들의 모범이 되었다.
    이처럼 그의 비평론은 리얼리즘 개념이 성립되기 이전의 한국비평에서 리얼리즘의 가능성을 발굴하고, 리얼리즘 개념이 위기를 맞았을 때 외연 확장을 시도하는 방향으로 진행된 것이다. 이로써 그는 경직된 리얼리즘 비평이 아니라 시대와 함께 호흡하는 유연한 리얼리즘 비평가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가히 포스트리얼리즘의 선구라 할 만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Lee Sun-young’s criticism in the 1980s and 1990s. When he was belatedly awarded a doctoral dissertation during his time as a professor of dismissal (1980-1984), he was over 50 years old. The subject of the doctoral thesis is the ‘History of Literature Criticism’ from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o the 1910s, and in particular, the theory of utility is at the center. Since the concept of realism had not yet emerged, the doctoral dissertation traced the intrinsic generation process of the theory of realism through the history of utility. Although realism is a modern concept, its spirit is rooted in tradition.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his criticism is an extension of the theory of intrinsic development. Thanks to the follow-up research of his disciples, this thesis came to fruition as 『The history of criticism of modern Korean literature』(1989).
    The 1990s was the time when major changes occurred in Lee Sun-young's critique and research of realism. This is also the reaction of a scholar of old age to the cultural upheaval of the fall of the socialist bloc and the advancement of post-discourse. During the research period in the early 1990s, he became to devour Frederick Jameson’s 『Political Unconsciousness』(1981). And what he discovered in Jameson was the possibility of exceeding the limits of the Korean critical world, which was divided into Marcism and formalism (structuralism). Following Jameson, he began to explore the ideological and psychological implications inherent in the form of Korean fiction. Its purpose is contained in the title 『Beyond Realism』(1995), which was published at the retirement age. His writings were also published in 『National Literature and Modernity』 (The Institute of National Literature History, 1995), setting an example for progressive young scholars seeking to expand realism criticism.
    In this way, his criticism progressed in the direction of discovering the possibility of realism in Korean criticism before the concept of realism was established and attempting to expand it when the concept of realism faced a crisis. In this way, he showed the side of a flexible realism critic who breathes with the times, not a rigid realism cri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