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교경론에 나 타 난 번뇌론 (T h e th e o r y o f w o rld ly d e s ire in t h e “ S tu d y o n th e S u tra o f e s o te ric B u d d h is rrf’)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12
28P 미리보기
밀교경론에 나 타 난 번뇌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4권 / 251 ~ 278페이지
    · 저자명 : 김영덕

    초록

    초기불교 시대부터 번뇌에 대하여 다양한 이론과 함께 이를 끊을 수 있는해 탈 의 수 행 이 제 시 되 어 왔 다 . 대 승 불 교 에 서 는 煩 個 卽 音 提 라 고 하 여 번 뇌상 태 에 서 보 리 로 전 환 하 는 질 적 인 변 화 가 나 타 난 다 . 더 욱 이 밀 교 에 이 르 러서 는 번 뇌 를 퇴 치 하 여 해 탈 에 이 른 다 는 견해오ᅡ, 번 뇌 즉 보 리 라 는 전 통 적 인불 교 학 의 번 뇌 론 을 계 승 함 에 서 더 나 아 가 번 뇌 를 활 용 하 여 번 뇌 를 극 복 한다 는 발 상 이 보 이 고 있 다 . 이 것 을 정 리 하 면 끊 어 야 할 번 뇌 에 대 한 교 설 , 번 뇌 즉 보 리 의 발 상 전 환 , 번 뇌 자 체 를 방 편 으 로 삼 는 다 는 세 가 지 방 향 이성립된다고 볼 수 있다.
    첫 째 방 향 은 번 뇌 를 계 박 으 로 보 는 견 해 이 다 . 밀 교 에 서 끊 어 야 할 번 뇌 를구 체 적 으 로 보 인 1■대 일 경 』에 서 는 중 생 의 妄 心 으 로 6 0 심 을 들 고 있 다 . 『대일 경 소 ji에 는 그 妄 心 의 구 체 적 내 용 과 함 께 이 를 치 유 할 수 있 는 수 행 법 을설 한 다 . 이 를 통 해 서 세 간 의 善 心 을 증 장 시 키 고 마 침 내 는 깨 달 음 을 향 해나 아 가 는 것 이 다 . 그 고 因 에 설 해 지 는 것 이 3 却 을 초 월 하 는 斑切D行 으 로 서磨 妄 執 , 細 妄 執 , 極 細 妄 執 을 차 례 대 로 초 월 하 여 마 음 의 實 際 에 들 어 가 게된다.
    둘 째 방 향 은 번 뇌 즉 보 리 로 보 는 견 해 이 다 . 번 뇌 를 없 애 는 길 은 모 든 법 은공 이 라 는 것 을 철 저 히 관 하 고 , 번 뇌 도 필 경 에 공 이 고 無 相 인 것 을 알 아 서초 월 하 는 것 이 다 . 공 한 모 든 법 은 본 래 청 정 하 므 로 번 뇌 또 한 청 정 하 다 .
    그 러 나 밀교에서 설하는 번뇌에 관한 교법은 사상과 언어의 相으로 표현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加持를 통하여 적극적인 用의 입장에 서게될 때 에 도 리 어 我 執 과 我 所 執 을 타 파 하 는 구 조 로 서 성 립 하 게 된 다 . 즉心的인 번뇌에 대해 身體的 • 作用的인 三密의 개념으로 구체적으로 전환시킨 점에 있다.
    셋 째 방 향 은 번 뇌 를 중 생 구 제 를 위 한 방 편 으 로 보 는 견 해 이 다 . 번 뇌 가바로 깨달음이라는 자각에서 삼밀이라는 구체적 작용으로 전개될 때에번 뇌 조 차 도 대 비 로 펼 쳐 지 는 훌 륭 한 방 편 이 된 다 . 즉 r대 일 경 』 삼 구 법 문 에서 설 하 는 구 경 방 편 의 단 계 에 서 는 탐 • 진 • 치 를 비 롯 한 어 떠 한 번 뇌 라 도방 편 의 자 량 이 될 수 있 다 . 그 리 하 여 물 들 은 번 뇌 로 물 들 은 번 뇌 를 다 스 릴때 에 번 뇌 는 더 이 상 번 뇌 가 아 니 다 . 밀 교 에 자 주 등 장 하 는 분 노 존 등 은바로 업장이 깊고 무거운 자에게 그 업장을 자각케 하도록 보여주는 자비방편으로서 染으로써 染을 對治한다는 밀교의 독특한 발상을 알려준다.

    영어초록

    Since the E arly B u d d h is t p e rio d , various theories have been b ro u g h t u p regarding w o rldly desires and the practices o f e m ancipation in order to renounce such w orldly desires. In Mahayanist B uddhism , the qualitative change to convert to B o d h i fro m the c o n d itio n o f w o rld ly desires is show n by saying that w orldly desires are indeed enlightenm ent. I n esoteric B u d d h is m , the idea o f overcom ing the w o rldly desires is discovered by u sin g i t a lo n g w ith the trad itio n al B u d d h is t theory o f w o rld ly desire : hence returning to the w orld o f m ankind after the conquest o f the worldly desire. I n brief, three directions o f ideas are formed : that is, the teachings regarding the w orldly desire to be renounced, the conversion o f the idea that w o rld ly desires are indeed enlightenm ent, and the idea o f u sin g the w o rld ly desires as an in stru m e n t.
    T he first d ire ctio n is the view o f c onsidering the w o rld ly desire as b in d in g . \^airocana S u tra 、w h ich shows in detail as to the w o rld ly desire to be re n o u n c e d , presents 6 0 m ental p h e n o m e n o n as the absu rd m in d o f the m a n k in d . “T he comm entary o f V^airocam S i i t r d ’ offers the m ethod o f practices to renounce w orldly desires alo ng w ith the detailed contents o f the w o rld ly desires. T hrou gh this, the virtuous m in d o f the m undane w o rld is developed, w h ic h finally leads to e n lig h te n m e n t. T h e teaching o f this process in clu d e yogic practices in order to rise above the three kalpa. I t gets in to the actual state o f m in d by risin g above the gross d e lu s io n , fine d e lu sio n , and the very fine d e lu sio n , respectively.
    T he second d ire ctio n is the view o f c o n sid e rin g the w o rldly desire as e n lig h te n m e n t. S im ilar to an o th e r study, the “ S tudy o n the Sutra o f esoteric B u d d h is m ” o ften presents the phrase d e n o tin g that the w orldly desire is indeed enlightenm ent. Therefore, B o d h i (enlightenm ent) can be o b ta in e d th ro u g h c u ltiv atin g the nature o f the w o rld ly desire. A way to renounce the w orldly desire is by observing tho roughly that all things are e m p ty , an d thro u g h u n d e rstan d in g that the w o rld ly desire is also em pty and im p e rm a n e n t. A ll things that are em pty is origin ally pure : thus, the w orldly desire is also pure. The teaching regarding the w orldly desire in esoteric B uddhism established the structure that destroys egoistic attac h m e n t w h e n it is n o t o n ly expressed as the concept o f idea and language, b u t is also actively used. I n other w ords, regarding the w orldly desire i n m in d , it is concretely converted to the physical and fu n c tio n a l c o n c e p t o f the three secrets.
    T he th ird d ire c tio n is the view o f considering the w o rld ly desire as salvation o f m an k in d . W h e n the self-awareness regarding that the w orldly desire is in d e e d e n lig hten m ent is developed to the concrete fu n c tio n , the w orldly desire becomes the great instrument o f compassion. Specifically, the te ac h in g o f X^airocana S u tra show s that any w o rld ly desire can be an in stru m e nt. T he w orldly desire, v iz ., greed, anger, and stupidity, w hich should b e removed in Buddhism, can appear as an instrument for salvation o f m a n k in d . T herefore, w hen the w o rld ly desire o f b e in g p o llu te d is c o n tro lle d by the w o rldly desire o f b e in g p o llu te d , the n it is n o t the w o rld ly desire anym 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