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서철학의 지평에서 본 유교 인성론 (The Theory of Confucian Theory of Human-nature in the Horizon of East-West Philosoph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6
26P 미리보기
동서철학의 지평에서 본 유교 인성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50권 / 287 ~ 312페이지
    · 저자명 : 임헌규

    초록

    배우고 묻는 것[學問]은 선천적으로 알기를 좋아하는 인간의 고유한 삶의 양식이다. 모든 배움과 질문은 함께 공동체를 형성하여 목적적 삶을 영위하는 인간의⋅인간에 의해⋅인간을 위해 제기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자기정체성에 대한 해명⋅인식⋅체득은 모든 철학사를 관통하는 근본 문제이다. 따라서 인간의 본성(인성론)은 철학의 제일문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이 글은 동서철학의 지평에서 유교 인성론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했다.
    서양의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로 대표되는 지적(知的) 전통에 따르면, 지혜사랑이란 인간의 고유한 활동은 경이(驚異: 의아함, 신비로움)에서 출발한다. 중국철학의 전통에서 서양의 경이(taumazein)에 대비되는 개념은 驚(敬+馬:본능적 놀라움)⋅警(敬+言:경험적 이론적 지식을 통한 警戒⋅警備)⋅敬(主一無適) 등으로 전개⋅발전했다. ‘敬’ 개념의 전개를 통해 우리는 외적 대상(정복자, 절대자 등)에 대한 두려움으로부터 점차 내적으로 회향하여, 우환의식을 갖고 자기 내면의 본성(德)에 진실해짐으로써(敬德) 인간의 자기자각(人本)이 시작했다.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적 지적 전통에 따르면, 인간이란 본능적으로 군거하는 동물과는 구별되게, 그 이성(理性)적 본성에 의해 합목적적 삶을 영위하는 정치적 동물이다. 유교의 공자 또한 인간을 여타 금수(禽獸)와 구별되게 하는 것은 생물학적 신체(生) 혹은 혈통(姓)이 아니라, 그러한 생물학적 신체(生)와 그 본능⋅욕망을 주관(心)하여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가치 있는 것[善]이라는 의미에서 성(性: 心+生) 개념을 제안했다. 이렇게 성 개념은 신체적 본능과 욕망을 주재하면서 인간다운 덕[仁]의 실현을 추구하여, 동물적인 야생의 세계를 넘어 인문사회를 창도할 중요한 철학적 개념이 되었다. 또한 공자는 인간의 자기완성을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으로 군자(君子) 개념을 정립하고, 그 덕목으로 인(仁) 개념을 제안했다.
    백가쟁명의 전국시대의 맹자는 공자의 학설을 수호⋅증명하면서 인성(人性) 개념을 학적⋅체계적으로 정립⋅증명하고, 인간의 보편 덕으로 확장하면서 존심(存心)⋅양성(養性)의 수양론을 제시했다. 즉 맹자는 인의예지(仁義禮智)라고 하는 사덕(四德)이 모든 인간이 고유하게 지니고 태어난 보편적인 본성이라는 증명하고, 그 실현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유교인성론의 정립자가 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tend to articulate The Theory of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Horizon of East-West Philosophy. Confucianism regarded Human- nature(mind-heart's nature) with importance more than any other schools at all the time. The most critical question in Confucian philosophy was what are truly a human Virtues and a good life? We begins with on definition of reverence(敬) and Te(德) in Confucian tradition. Confucius was the first philosopher to bring up the concept of Human- nature(mind-heart's nature) in the history of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Mencius was a protector to block heterodoxy after succeeding Confucius's the The Theory of Confucian theory of Human-nature(doctrine of mind-heart's nature). Mencius was the first founder to demonstrate reality of Human-nature(mind- heart's natur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Human-nature provided by Mencius are a) what distinguishes human beings from other animals. b)comprised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Chu-Hui introduced The four beginnings are the issuance of LI, and protected Human-nature(mind-heart's nature) differed with other beings after succeeding Confucius-Mencius's the doctrine of mind-heart's nature. According to Chu-Hui, The four beginnings was to present a moral motivation of human beings in their relation to metaphysical composition(Li-Ki). Such viewpoints about theory of Human-nature(mind-heart's na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ge of A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