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붕당·사림정치론의 재검토 (The Re-examination on the Current Theory of the Bungdang or Sarim Polit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8.10
30P 미리보기
조선 후기 붕당·사림정치론의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34호 / 251 ~ 280페이지
    · 저자명 : 이희환

    초록

    사림은 글자 그대로 선비 즉 학자로서 사대부 사류와 같은 말이다. 사림은 사대부·사류·사족 혹은 조선후기의 양반처럼 특별한 의미가 있는 용어가 아니다. 사림은 지배계층을 뜻하는 다양한 표현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사림정치는 사대부정치·사류정치·사족정치·양반정치·선비정치·학자정치 등과 같아 조선 후기 정치를 대변할 수 있는 용어로는 부적합하다.
    붕당 역시 상호비판을 기초로 견제와 균형의 정치원리가 그 핵심이라지만 그 논거가 없다. 수많은 사료는 물론 선조대 동·서 분당 후 『조선왕조실록』에서 붕당이란 용어가 519회나 검색되지만 예외없이 부정적이다. 붕당에 대해 언급한 국왕이나 조정 관료 및 재야 학자들도 모두 부정적이었다. 그러므로 조선 후기의 정치를 상호 견제와 균형의 원리 운운할 수 없다.
    그렇다면 조선 후기의 정치 형태를 어떤 용어로 표현해야 하는가. 조선 후기의 정치적 특징을 아우를 수 있는 용어로서 표현해야 한다. 조선 후기의 정치적 특징이라면 당쟁이라는 점에 이의가 없을 것이다. 물론 붕당 간의 싸움을 뜻하는 당쟁이란 용어를 사서에서 직접 사용한 예는 거의 없다. 그러나 붕당간의 투쟁의 결과로 볼 수 있는 당화 등의 비슷한 용례가 많기 때문에 굳이 일본인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해서 당쟁이란 용어의 사용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없다. 붕당 간의 싸움인 당쟁을 ‘붕당 간의 쟁투’로 바꾸어 쓸 필요도 없다. 그 당쟁의 주체로서 파당·당파·편당·붕당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사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용어는 붕당이다. 붕당정치론자의 의미와 달리 붕당이 부정적인 의미의 용어이지만 탈민족의 현상까지 대두되는 현대 사학에서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그대로 표현하면 될 것이다. 더구나 붕당정치라는 용어를 현재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의미를 부정적인 편당 당파 파당의 본래의 의미로 사용하면 된다. 현재의 붕당의 의미를 변개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의미로 환원해서 사용하면 붕당정치가 조선 후기의 정치를 대변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용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그 붕당정치는 현재 쓰고 있는 긍정적인 의미와 달리 원래의 부정적인 의미의 ‘붕당정치’이어야 한다.

    영어초록

    I don't agree to the current sarim interpretation. The term sarim means the literati to the letter. In short, the sarim is identical to the sadaebu, the saryu or the sajok. Then the term is not a proper noun but a common term like the yangban of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only one of the various terms that represent the ruling class of the dynasty. Therefore the use of the term "sarim politics" is inappropriate for the politics of the late Joseon dynasty, like the term "sadaebu politics", "sajok politics", "yangban politics", "sonbi politics" or "hakja politics."
    And according to the current interpretation of the term bungdang(political factions), it is said to be a central principle of check and balance on the basis of the mutual criticism among the political factions, but in my view it is groundless. The term bungdang had been used negatively in the numerous historical materials. Especially after the conflict of the two factions known as Easterners and Westerners 519 cases of the term are foun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y are all used negatively. The kings, the officials and the scholars out of the government at that times always mentioned the bungdang negatively. Then it couldn't be argued that the politics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d been managed under the principle of check and balance among the political factions.
    So what term must we use to explain the political form of the late Joseon dynasty? Of course we have to use the comprehensive term that covers the political feature of the times. We could not deny that the term dangjaeng is most suitable. The term had been rarely used in the historical records. But there are such similar examples as the danghwa which was the outgrowth of the conflicts among the political factions, so we don't have to hesitate to use the word just because it was made by the Japanese. And the term bungdang had been generally cited to indicate the parties concerned of the dangjaeng in the historical records.
    It is true that the bungdang had been used negatively, which departs from the opinion of the present advocators of "bungdang politics." But, in the present historical science where there is the growing trend towards the post-nationalism, the term bungdang could be used to the letter, even though the meaning was negative or positive. What is more, as the term "bungdang politics" is in common use, all we have to do is to use the word on the contrary, namely in the original negative sense. I don't argue that the meaning of the bungdang should be changed. Just use the term as it was before. Then the term "bungdang politics" is most suitable to represent the politics of the late Joseon dynasty. Once again, I want to emphasize that the term "bungdang politics" should be used negatively, not posi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