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자 이상정치의 양민(養民)론 연구 (A Study on Yangmin Theory of Lao-tzu’s Ideal Polit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12
24P 미리보기
노자 이상정치의 양민(養民)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8호 / 5 ~ 28페이지
    · 저자명 : 김희

    초록

    본 논문은 노자사상에서 강조되는 스스로 그러한 자연(自然) 개념이 정치적 측면의 양민(養育)의 위민(爲民)의식으로 발전하는 양성을 노자의 이상정치에 대한 인식과 연계하는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자를 평가함에 있어 노자 무위(無爲)의 정치론은 백성의 통치를 위한 절대군주의 전략에 지나지 않는다는 견해는 노자사상이 갖는 인간 해방의 자유에 관한 철학적 의미보다 『노자』를 정치적인 측면의 통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이해하려고 하는 사례에 해당한다.
    이 점에서 법가를 거쳐 황로학으로 발전한 황로도가는 노자의 자연 개념을 정치화한 단적인 사례가 된다. 즉, 군주에 대한 민의 자발적인 복종을 무위(無爲)의 통치론을 통해 정치화하는 황로도가는 백성에 대한 군주의 통치 목적이 전략적으로 은폐된 고도의 정치를 자연 개념을 통해 실현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의 해방을 만물세계가 갖는 보편의 자연질서 회복을 통해 확보하려는 노자사상에서 자연은 무위(無爲)의 정치론을 가능하게 만드는 주요한 개념이 된다. 다시 말해, 노자에게 있어 스스로 그러한 자연의 질서는 만물의 스스로 그러한 변화를 가능하도록 만드는 원인인 동시에 목적이 된다. 이 점에서 노자의 자화(自化)는 특정한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대상화 되지 않는 만물의 스스로 그러한 변화를 상징하는 의미가 된다. 더욱이, 만물의 스스로 그러한 변화의 동기성을 사회화 하는 노자에게 있어 자연에 기초한 무위(無爲)의 정치론은 민의 스스로 그러한 삶을 보장하는 동시에 민에 대한 군주의 정치적인 욕망의 목적성을 소거하는 과욕(寡欲)의 수양론이 된다.
    이와 같이 무위(無爲)의 정치론에 대한 다른 평가는 개체 본성(性)의 스스로 그러한 변화에 대한 이해와 함께 하는 무위(無爲)의 목적성을 어떠한 관점에서 이해하는가에 대한 차이로 인해 기인한다. 또한 이것은 자연과 무위(無爲)를 중심으로 하는 군민(君民)의 정치적 관계에 대한 해석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노자의 이상사회와 함께하는 양민(養民)에 대한 의미 연구는 스스로 그러한 자연질서를 기반으로 인간 해방의 자유정신을 사회화 하는 노자의 정치사상이 갖는 의미를 민 스스로의 삶에 대한 동기성과 목적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규명하는 것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것은 유가와 구별되는 도가 고유의 평등적 세계관이 인간의 삶 속에서 사회화 되는 인간 해방의 자유정신이 발현되는 과정에 대한 고찰이 된다. 이 점에서 개체 본성의 自然에 토대한 민 스스로에 의한 삶의 영위를 상징하는 소국과민(小國寡民)은 노자의 위민(爲民)의식이 사회화된 양민(養民)의 정치의식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s to examine political consciousness helping people lead their normal lives on their own, that is emphasized in Lao-tzu’s thought, in conjunction with a Lao-tzu’s idea of ideal society, and tries to analyze, on the basis of spontaneity (自然), a process of forming political consciousness of yangmin (養民).
    Appraisals of Lao-tzu’s political idea diverge greatly into two perspectives. One is to regard Lao-tzu’s political theory of non-action as a highly sophisticated strategy of the autocrat for his reign. Other is regard it as political philosophy emphasized in Taoism, along with the theory of cultivation (修養論). It can be said that Lao-tzu’s political thought evaluated as a high level of the political strategy is related to political craft of Hwangro studies (黃老學), and is also equivalent to Taoism politicized for reactionary ideas against Confucianism.
    Notwithstanding bisected appraisals of Lao-tzu’s political idea, it can be said that Lao-tzu developed perception of individual essentiality intrinsic, and its autonomy based on the world order of ‘spontaneity (自然)’. This is a significant ground so as to interpret relationship of political implication between the army and people in the ideal society that Lao-tzu pursues.
    Furthermore, to the extent that Lao-tzu’s political awareness politicized by the underlying order of the nature world through non-doing (無爲) emphasizes a role of the monarch in order for people’s own lives, sogukgwamin (小國寡民, a small country with few citizens) equates to an emblematic concept that is indicative of his ideal politics. Also, given that Lao-tzu expounds, on a basis of the nature of individual, spontaneity (自然), people’s lives led by themselves, his consciousness of yangmin (養民) comes to be politicized in sogukgwamin (小國寡民).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