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문화론’과 ‘탈문화론’의 공모로서 국제일본문화 - 범지화(汎知化)의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 (International Japanese Culture as a Collusion of 'Japanese Culture Theory' and 'Deculturalization Theory' -Articulation of Universal Knowledg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2
25P 미리보기
‘일본문화론’과 ‘탈문화론’의 공모로서 국제일본문화 - 범지화(汎知化)의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 / 101호 / 257 ~ 281페이지
    · 저자명 : 전성곤

    초록

    본 논고에서는 국제일본문화론을 ‘일본문화론’과 ‘탈문화냉전론’의 공모로 간주하고, 그것을 구축해내는 과정과 이론적 배경을 규명해 내고자 했다. 일반적으로는 일본문화를 논하는 시점에 본질론이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일본문화를 역사적 흐름과 연동하여 그 문화적 특수성을 제시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문화와 역사를 분리시키는 시각과, 구조주의라는 새로운 국제적 담론이 들어오면서 새로운 전환이 일어났다. 일본은 이 시기 일본문화 특수성을 극복하고 국제적 이론인 구조주의를 통해 새로운 ‘국제+일본+문화론’을 구축해 낸다. ‘일본문화 본질론’을 ‘일본문화 해체론’으로 ‘자국중심주의’를 넘고, 경제대국-세계 속의 일본이라는 명분으로 일본의 국제성을 강조하게 된다. 이때 활용된 논리로서 일본문화를 포스트(post) 동(東)의 시대라며 국가틀을 넘어서는 포스트 개념을 활용한다. 그리고 서구적 근대의 사고방식의 하나인 이분법을 넘어서기 위해 일본의 근대를 메이지시기가 아니라 도쿠가와시대를 상정하고, 이로부터 근대적 개념을 구축한다. 대표적으로 우메하라 다케시, 우메사오 다다오가 그 중심에 있었고, 서구적 근대를 넘는 국제일본문화를 주창했다. 그것이 바로 일본문화 해체와 이(異)문화 이해를 위한 ‘구조주의’의 활용이었다. 이때 활용된 이론가가 레비 스트로스였다. 그리고 도쿠가와를 재해석한 대표적 인물인 하가 도오루는 에드윈 라이샤워, 조지 샌섬, 로날드 토비, 모리스 팽게의 이론을 작위적으로 편취(騙取)하면서 도쿠가와시대를 재해석한다. 그것은 매우 단편적이었다. 그리고 에도시대를 강조하던 야스오카 쇼타로는 냉전 시기에 가졌던 이항대립의 극복하면서 주장하게 된다. 냉전시기 종속과 저항이라는 이항대립적 ‘인식론적 질서들의 결합’을 해체하면서 그 선분(Line segment)을 넘기위한 방법으로 탈냉전시기에 평균화의 비판을 주장했지만, 스스로가 그 내부로 파묻히게 된다. 국제일본문화론은 이처럼 냉전시기에 지녔던 이항대립적 세계관과 탈냉전시기에 구조주의를 활용하면서, 역설적으로 공모관계를 형성하여 전체상을 그려내고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international Japanese culture theory as a synthesis of Japanese culture theory and post-cultural Cold War theory, with the goal of identifying the process and theoretical foundation of its development. In general, essentialism dominated discussions of Japanese culture, with an emphasis on presenting the cultural specificity of Japanese culture through historical trends. However, in the 1980s, a new transition occurred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international discourse known as structuralism, as well as a perspective that distinguished culture from history. During this time, Japan overcame the uniqueness of its culture and developed a new "international+Japanese+cultural theory" through structuralism, an international theory. Japanese cultural essentialism was replaced by Japanese cultural deconstruction theory in order to overcome nationalism and emphasize Japan's internationality as an economic power and its role in the global world. The logic used is the post-conceptualization of Japanese culture as the post-East era, which extends beyond the national context. To overcome the dichotomy inherent in the Western modern mindset, this paper considered Japan's modern era to be the Tokugawa period rather than the Meiji period and then developed a modern concept. Umehara Takeshi and Umesao Tadao were at the forefront of this movement, promoting a cosmopolitan Japanese culture that transcended Western modernity. This was the deconstruction of Japanese culture and the application of structuralism to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This argument was based on the work of Claude Lévi-Strauss. Haga Tooru, the most prominent analyst of the Tokugawa period, reinterpreted the Tokugawa period by combining the theories of Edwin Reischauer, George Sansom, Ronald Toby, and Maurice Pinguet. His reinterpretation was extremely fragmentary. Yasuoka Shotaro, who emphasized the Edo period, advocated for overcoming the binary opposition during the Cold War. To cross the line segment by deconstructing the binary oppositional union of epistemological orders of subordination and resistance during the Cold War, he argued for a critique of averaging in the post-Cold War period, but found himself trapped within it. International Japanese culture theory, in turn, used the Cold War's binary oppositional worldview and post-Cold War structuralism to form a collusive relationship and draw a comprehensive pi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