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학파 경세론의 도학적 경세정신 (The theory of Neo-Confucian governing of Yulgok schoo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12
37P 미리보기
율곡학파 경세론의 도학적 경세정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3권 / 39 ~ 75페이지
    · 저자명 : 김문준

    초록

    율곡 이이는 조선 최고의 경세가라고 할 수 있으며, 율곡학파 경세론의 특징은 도학적 경세론이다. 그런데 율곡은 중국 최고의 변법 경장가 왕안석 신법에 대해 평하기를, ‘인의(仁義)를 뒤로 하고 공리(功利)를 앞세웠다’, ‘중화를 저버리고 이적으로 나아갔다’고 혹평했다. 신법 정책이 안민(安民)에 앞서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우선하며, 백성들이 인심(仁心)을 양성하는 정책이 아니라 백성들이 이심(利心)을 추구하게 만드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율곡은 지속적인 변법(變法) 경장(更張)을 주장하면서 민본(民本)ㆍ안민(安民)ㆍ이민(利民)ㆍ위민(爲民) 정신에 입각하여 국정을 개혁하고 사회 부조리를 개혁하고자 했다. 율곡의 도학적 경세론의 특징은, 첫째, 왕도(王道)를 시행하여 '대동(大同)' 세상을 실현한다는 것이 최종목표이고 그 방법은 안민(安民)과 교민(敎民)을 추진하여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 주자의 경세론을 모범으로 삼아서 임금과 정치 담당자들에게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학을 바탕으로 한 덕치와 안민의 실제 성과를 도출하는 경세 태도를 요구했다.
    셋째, 우국애민(憂國愛民)에 기초한 우환(憂患)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우환의식은 시의(時宜)에 따른 시폐(時弊) 경장론으로 나타났다.
    율곡의 경세정신은 후학들에게 전수되었다. 율곡의 도학적 경세론은 조헌과 김장생, 송시열과 송준길, 윤선거와 이유태와 유계 등 학파를 이어 도학적 경세론을 계승해 갔다. 율곡학파는 만언소 전통을 이어가면서, 임금에게 시정에 대한 장문의 건의를 올려 ‘절약하고 백성을 사랑하여 부역을 줄이고 세금을 적게 걷기’, 인정(仁政)과 덕치에 기반한 안민 정책을 정치의 근본으로 삼았고 부국강병 정책을 정치의 말단의 일로 삼았다.

    영어초록

    Yulgok Lee Yi(李珥, 1536-1584) was Joseon's best Kyungjangist. The feature of the Yulgok school theory can be summarized as the theory of Neo-Confucian governance. Lee Yi commented on the new laws of Wang Anshi(王安石, 1021~1086), China's top Kyungjangist. Lee Yi harshly criticized Wang Anshi for "Leaving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behind utilitarianism(Effectiveness and consequentialism)" and "Leaving moral civilization to move on barbarism." His new law policy put priority on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富國强兵) before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安民). Yulgok criticized, Wang Anshi's policy did not make the people cultivate humanity, just maked the people pursue selfishness. Lee Yi insisted on a continuous perversion, to reform state affairs based on the spirit of the people, tried to reform social absurdities. The characteristic of Lee Yi's theory of the theory of Neo-Confucian governance is that; First, the ultimate goal is to implement the benevolent policy to realize a "daedong" world. The method can be achieved by promoting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and ‘teaching the people’. Second, it called on king and political officials to take a attitude that elicits the actual achievements of virtuous politics leadership(德治) and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安民). Third, he had a sense of patriotism and love of the people(憂國愛民)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anxiety for the people. Yhe consciousness of anxiety for the people emerged as the theory of reform according to negative effects of the times(時弊). The Yulgok’ spirit of reform had been passed down to the juniors. They are Jo Hoen(趙憲; 1544-1592), Kim Jang saeng(金長生, 1548-1631),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Song Joon Kil(宋浚吉, 1606-1672), Yoon Seon-geo(尹宣擧, 1610-1669), Lee Yu-tae(李惟泰, 1607~1684), Yu gye(俞棨, 1607-1664). Yulk school continued the tradition of Maneonso(萬言疏, an address of ten thousand letters to the king), claimed saving government expenses and loving the people, reducing forced labor service and imposing less taxes. They left the Policy for a rich country and strong army behind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