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馬一浮․熊十力의 易學論 비교 (Comparative Study of Yiching by Ma yifu and Xiong shil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8
22P 미리보기
馬一浮․熊十力의 易學論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55권 / 171 ~ 192페이지
    · 저자명 : 천병돈, 노병렬

    초록

    본 논문은 1세대 신유가 3인 중, 易學을 중국철학의 근원으로 규정한 馬一浮와 熊十力의 易學觀을 논하는데 목적이 있다. 易의 핵심 개념 즉 理氣・乾坤・闔闢・窮理盡性至命에 대한 馬一浮와 熊十力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易學 관련 문헌: 馬一浮는 易學의 전반적인 이해라는 측면에서 象數易・義理易 모두를 중시했다. 義理易으로는 程伊川의 『易傳』을, 象數易으로는 주자의 『易學啟蒙』을 높이 평가했다. 熊十力은 象數・義理를 부정하지 않았지만 ‘體用不二’의 관점에서 道家易과 程朱 易學을 비판적으로 보았다.
    理氣[道器] 論: 馬一浮는 程朱學的 理氣論을 받아들여 理를 形而上으로, 氣를 形而下로 구분했다. 熊十力은 體用不二의 관점에서 氣를 理의 유행으로, 理를 氣의 條理로 파악했다.
    乾坤闔[翕]闢・窮理盡性至命: 馬一浮는 程朱學적 관점을 그대로 적용하여, 乾과 坤, 그리고 闔과 闢을 병립 관계로 파악하고 있다. ‘窮理盡性至命理’에 대해 理・性・命을 理로, 窮・盡・至를 修로 파악하여 本體와 工夫로 나누었다. 熊十力은 乾坤은 하나이고, 翕闢은 본체가 작용할 때의 서로 다른 운동 양상으로 보았다. 窮理盡性至命에 대해서도 體用不二의 관점에서 本體와 工夫를 하나라고 주장했다.
    『觀象巵言』은 馬一浮의 설명대로 초학자들을 위한 교재다. 그래서 개념 해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런 관계로 馬一浮의 易學은 매우 전통적이다. 熊十力은 ‘體用不二’라는 자신의 철학적 관점에서 易을 해석했고, 그것을 기준으로 歷代 易學을 비판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Ma yifu’s and Xiong shili's The Learning of Zhouyi, who define The Learning of Zhouyi as the source of Chinese philosophy among the three generations of new generations. Both said that The Learning of Zhouyi is the foundation of Chinese philosophy. However, the perspective of The Learning of Zhouyi is completely different. Ma yifu did not neglect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The Yiching”. However, Xiong shili verified the body theory of ‘the unit of Substance and Function’ through The learning of Zhouyi. The difference between Ma yifu and Xiong shili on the core concept of “The Yiching” is as follows.
    Literature related to The study of I Ching: Ma yifu valued both Number & Image theory of I Ching and the Moral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I Ching in terms of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study of I Ching. The Moral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I Ching highly praised Cheng yichuan's “Yizhuan”. The Number & Image theory of I Ching also highly praised Zhuxi's “Yixueqimong.” Xiong shili did not deny the Number & Image theory of I Ching and the Moral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I Ching.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that “Substance and Function has one source,” he criticized the history of the study of I Ching.
    Theory of Yi and Gi: Ma yifu accepted Chengzhuxue's Theory of Yi and Gi to classify Li as metaphysics and Qi as physical science. From the perspective that Substance and Function has one source, Xiong shili identified Qi as the action of Li, and Li as the law of Qi. QianKun, Close and Open, Li Xing Ming: Ma yifu accepted Chengzhuxue's point of view, grasping Qian and Kun and Close and Open in a symmetrical relationship. Ma yifu divided Substance and Function into two. In Xiong shili, QianKun is one, and Close and Open are seen as different movement patterns when Substance works. Substance and Function are claimed to be 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