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인훈의 문학과 방법론으로서의 풍속 (The Custom of Choi In-hoon as a Literary and Method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12
39P 미리보기
최인훈의 문학과 방법론으로서의 풍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9호 / 121 ~ 159페이지
    · 저자명 : 김선

    초록

    『광장』(1960)에서 『태풍』(1973), 『화두』(1994)에 이르기까지 최인훈이 오랫동안 시대에서 호명되었던 ‘현상’에는 당대의 정치사회 현실과 문학장, 그리고 창작적 실천의 세 가지 궤적이 긴밀하게 얽혀있다.
    1960-1970년대, 『사상계』에서 『문학과지성』, 『창비』로 전개되는 문학장의 중심에서 최인훈은 당대 문단의 리얼리즘 논의와 관련하여 비평적 주류로 떠올랐다. 동시기 문학이 리얼리즘을 대하는 ‘태도’의 문제는 각 매체의 성격과 정치적 입장을 표명하는 태도와 연관된 민감한 사안이었다. 이 과정에서 최인훈의 창작방법론인 ‘풍속적 방법론’이 김윤식과 김현, 『문학과지성』을 중심으로 ‘풍속’의 담론을 구축하였다.
    이들은 사실적, 직접적, 혁명적으로 리얼리즘의 재현적 태도를 취하는 태도에 반하여, 현실에 대한 ‘인식적 방법론’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는 당시의 주류 이론이었던 후기구조주의와 푸코의 기호학, 탈식민주의, 문화사관 등이 우리의 문학장에 들어오면서 부각된 측면이기도 하다.
    최인훈의 ‘풍속적 방법론’은 1960년대 중후반 기간 동안 문학적 실천을 통해 두가지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하늘의 다리』는 ‘문화사관’으로 전환된 역사관을 적극 자신의 예술론에 결합하여 방법론으로서 창안한 문학적 풍속의 의미를 작품 속에서 검토하고 있다. 주체의 실존을 중심으로 전환된 예술적 대상, 주객관의 합일이라는 예술의 성격과 방법론, 문화사관 중심의 현실 인식의 전환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후 1970년대 작품 『두만강』과 『태풍』에서는 문화사관을 통해 재현된 私적인 풍속의 의미를 공공의 역사적 의미로 확장시켜 나갔다. 문학적으로 창안된 ‘풍속’을 통해 ‘문학의’ 이데올로기적 지평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최인훈이 구축한 ‘풍속’의 이념은 현실의 이데올로기라는 환상 속에서 존재의 조건을 스스로 부여하기 위한 인식적 방법론이다. 곧 “자신의 책임”이며 “한 시대가 보여주는 징조의 껍질을 뚫어 보는 힘”을 가지는 인식적 방법론을 가지는 것이 요체이다. 끊임없이 스스로 탈아하는 동시에 타자와 연대하여 이데올로기의 존재론적 지평을 확장하는 것, 그것이 최인훈이 1970년대에 도달한 ‘풍속’의 차원이었다.

    영어초록

    Including the 1960’s Sasang-gyae(思想界) and 1970’s foundation of the literary world, the issue of ‘attitude’ dealing with the realism of literature was a very sensitive issue which expressed the nature and political position of each medium.
    In the process, Choi In-hoon’s novel creation theory, ‘The Custom Methodology’, constructs argument of custom that will lead to formation of lineage of Kim Yoonsik and Kim Hyun. Contrary to the attitude of taking a reproducible attitude of realism both real and revolutionary, they focus on ‘Methodology’. It was also highlighted by the introduction of mainstream theory at the time, post-structuralism, as well as Foucault’s semiotics, postcolinialism, and historical view of culture into our literature hall.
    Choi’s concept of custom developed in two directions during the 1960s. First, Seo Yu-gi, which contains Choi In-hoon’s art theroy, Ku Bo’s Daily, and The Bridge of the Sky are actively combining historical views converted into ‘Historical Views of the Culture’ with their own art theories to examine new conventional meanings. They include artistic objects centered on the subject’s existence, the nature and methodology of art as the unity of the host audience, and a shift in perception of reality centered on cultural history.
    Later, in the Dumangang and Taepoong, the meaning of the custom through historical views of the culture is extended to the public’s historical meaning. It replaces the meaning of a new syntactic indicator with historical value through a custom created by literature. The creation of a new historical norm called ‘Custom’, established by Choi In-hoon, is a cognitive methodology designed to give himself the condition of existence in the illusion of the ideaology of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