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자철학에서 ‘도’의 존재론적 지위 (Ontological status of ‘Tao’ in ‘Zang-Tzu’s philosop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9
36P 미리보기
장자철학에서 ‘도’의 존재론적 지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3호 / 287 ~ 322페이지
    · 저자명 : 윤천근

    초록

    ‘도’는 도가 뿐만 아니라 중국사상 전반에 걸쳐서 중요한 개념이다. 도가사상이나 유가사상의 경우에도 상황은 마찬가지이다. 중국사상은 완벽하게 논리적 설명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모아지기 어려운 다양한 주장과 언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개념적 정합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중심을 어디에 가져다 놓느냐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개념의 적절한 이해를 위해서도 이 점은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나는 유가와 도가가 전제하고 있는 도 개념의 중심영역은 서로 다르다고 생각한다. 도가의 도는 무엇보다도 존재론적인 것인데 반하여 유가의 도는 무엇보다도 행위론적인 것이라고 보는 것이 나의 입장이다. 지식론, 심성론의 과정을 거쳐 성인의 행위의 도를 이루려는 것이 유가의 목표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유가는 인간, 대아로서의 위대한 인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가의 도는 무엇보다도 존재론적인 것이다. 도가는 세계를 둘로 나누어 이해한다. 도가 구현되는 세상, 도가 구현되지 않는 세상, 무위의 세상, 유위의 세상으로 나누는 것이다. 유위의 세상은 인간의 세상이다. 무위의 세상은 자연의 세상이다. 유위의 세상은 도를 소망하는 자, 도를 숭상하는 자, 도를 배우려는 자, 도를 지식하는 자, 도를 구현하려는 자 등이 놓이는 영역이다. 이런 영역 속에 유가의 성인도 놓여진다. 장자의 대종사가 만약 스스로의 큰 도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자이고, 스스로의 큰 도를 자랑삼는 자라면, 그런 대종사도 이 영역의 시민일 따름이라 하겠다. 유위의 영역에서 도를 알고, 선망하고, 추구하는 것이 갖는 의미는 결국 자신이 도의 세상 속에 놓여있지 않다는 것을 자각하게 만들어 주는 기능으로 충분하다. 유위의 세상 속에서 그가 선망하는 도의 한계와 본질을 절절하게 자각한 존재는 그의 모든 지식과 의욕을 버리고, 자연존재 속으로 걸어 들어가게 된다. 그는 유위의 도를 가지고 이러한 ‘존재론적 전위’를 이루어 내는 것이 아니라 유위의 도를 버리고 무위의 도의 세상 속으로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유위의 세계 속에는 도가 없다. 도에 대한 지식, 소망, 의욕이 있을 뿐이다. 유위의 존재가 ‘존재론적 전위’를 이루어 무위의 존재로 환원되었을 때, 무위의 세계 속에도 도는 없다. ‘기-음양-만물’이 한 덩어리의 총체적 ‘존재의 망’ 속에 놓이는 무위의 자연 존재의 세계에서는 ‘똥 속에도 도가 있는’ 경지가 펼쳐지게 되므로, 특별히 도에 주목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Tao is an important concept throughout the entire Chinese history of philosophy as well as in Taoism, the same can be said for for Confucianism. Chinese thought is not equipped with a structure of perfectly logical explanation, it is made up of words and actions with various arguments that are difficult to see as one in order to make conceptual consistency for the legitimate candidates that are important to put the at the center. This also goes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ao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I think that the meaning of Tao in Taoism and Confucianism have different centers of their concepts. The Tao of Taoism is more ontological, while in the case of Confucianism it has more features as a theory of action. In Confucianism, the theory of knowledge and the theory of mind will be based toward the act of the ‘great human’ following the Tao. In that point, Confucianism couldn't get from the human and the great man that which significantly expanded the human sense of self. The Tao of Taoism is concentrated on the ontology. Taoism split the world into two understandings: One is a world where the Tao is implemented as a whole, the other is a world where the Tao is non-implemented as a whole. In other words, which one person acts with intent, and the one person acts without any intent; these are the two contrasting views of the world in Taoism. The latter is the natural world. The former is the artificial world. The great man of Confucianism is placed in the artificial world. A great man of Taoism, named ‘DE_JONG_SA’大宗師, was a person trying to get the wisdom of the greatest limitlessly, he was only in the artificial world, absolutely not in the natural world. In the artificial world, the Tao can a guiding role through which people can realize the vanity of that knowledge of Tao. Throwing the Tao in the artificial world away he will cast away all artificial constraint, and will be led into the natural world, which everything is already implemented in Tao. Through a reversion to an ontological realm like this, although there is no knowledge, hope, or desire of the Tao he already exists in Tao. Already open to all areas that exist, but doesn’t feel anything of it, that’s the view of Tao in Tao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