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이트헤드 범재신론의 영성론적 함의 (Spiritual Implications of Whitehead’s Panenthe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6
42P 미리보기
화이트헤드 범재신론의 영성론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55호 / 189 ~ 230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순

    초록

    20세기 현대 서양철학자 중 한 사람인 화이트헤드는 과정철학이라는 매우 독특한 철학을 태동시킨 자이다. 그의 철학은 신학뿐 아니라, 과학, 종교, 예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쳐왔다. 특히 자신의 사상이 동양 사상과 친화적이라고 표현한 대로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은 종교 간의 대화나 비교연구를 위한 주요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21세기 종교 간 갈등과 분쟁의 시대에 더욱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무엇보다도 20세기 미국에서 발생한 과정신학은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이제 미국의 대표적인 신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화이트헤드는 서구의 철학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이를 자기 사상의 발전과정 안에서 새롭게해석했다. 그의 철학은 유기체 철학으로도 불리는데, 기존의 정태적이고 고정적인 세계관을 거부하고 세계 전체를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살아있는 유기체로 파악한다. 즉 화이트헤드는 실재를 과정으로보면서, 사물을 정적인 무생물로 보기보다는 생명력이 고동치는 유기체로 파악한다는 것이다.
    특히 화이트헤드는 종교의 문제를 자신의 철학 안에 끌어들여 논의를 전개했는데, 그가 제시한 종교론은 신학과 종교학에 새로운 통찰을 제시한다. 그는 종교의 특징을 개인의 고독과 내면성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리고 신을 만물 안에 존재하는 하나의 현실재이면서도 현실재를 초월해 있는 분, 근원적인 성격을 가지면서도 구체적인 성격을 가지고 세계와 끊임없이 관계하며 모든 창조 과정에계속적으로 개입하시는 분으로 파악하는 범재신론(panentheism)을제시하였다. 이는 범신론과 유일신론을 종합한 새로운 신관으로써유대-그리스도교의 전통적인 유일신론의 문제를 보완하는 데 많은도움을 준다. 그에게 신 개념은 과정 우주론을 완성하는 최종 개념이다. 화이트헤드는 전통 그리스도교의 교리에 반복적으로 나타났던수많은 역설과 왜곡과 무관하게 이제 세상과 관계하는 하나님의 선하심을 확증하며, 하나님의 힘에 대해서도 훨씬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화이트헤드의 신 개념은 하나님과 세상의 상호관련성과 신적인삶에 있어서 역동적인 창조의 중요성을 분명하게 인식하게 만든다.
    화이트헤드는 서구 전통 그리스도교에 적용되어 왔던 대표적인 신개념, 곧 근원적이고 탁월하게 실재적이며 초월적인 창조자로서의신, 제국주의적 지배자로서의 신, 도덕적 에너지의 의인화로서의 신, 궁극적인 철학 원리로서의 신 개념을 잘못된 것들로 비판한다. 이런전통적인 신 개념들은 통치하는 시저 황제로, 무자비한 도덕가로, 부동의 동자로서 신을 이해해 왔다. 그러나 그런 개념들은 갈릴리 예수에게서 시작된 그리스도교와는 너무도 거리가 멀다. 그러므로 그는세계 종교의 역사에 나타난 신 개념들을 분석하면서 새로운 신관을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이트헤드 과정철학의 기초가 되는 과정우주론의개요를 먼저 살펴본 후 그가 주장하는 범재신론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한다. 결론적으로 이런 논의들이 특히 그리스도교 영성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본 논문에서 다룬 화이트헤드 범재신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지적하고, 앞으로 계속 연구할 과제를 제시한다.

    영어초록

    Alfred N. Whitehead, one of modern Western philosophers, founded ‘process philosophy.’ His philosophy has been influencing on many areas such as theology, religion, science, art, and culture. As he expressed that his philosophy was very close to Eastern thoughts, his philosophy of process has been used as a major tool for interreligious dialogue and comparative study of regions. Particularly, his philosophy is expected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for peace in the world in times of conflicts among religions. Process philosophy which was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20 century was greatly influenced by Whitehead’s philosophy of process. Whitehead’s philosophy is also called ‘philosophy of organism’ and it regards the universe as a living organism that has impact on one another in all thing of the world. His philosophy opposes the traditional worldview that is fixed and static.
    Whitehead embraced a theme of religion in his philosophy.
    The theory of religion he proposed gives a new insight to theology and the study of religion. He insisted that religion started from individual’s loneliness and internal dimension. He proposed ‘panentheism’ that understood God as the one who was one of actual entities and transcended actual entities at the same time, had both primordial nature and consequent nature.
    His panentheism is a new concept of God which is composed of theism and pantheism. It is very helpful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traditional theism. For him, a concept of God is a final one that completes his cosmology. Whitehead assures God’s goodness without paradoxes and perversions repeatedly appeared in traditional Christian doctrines. He also explains convincingly power of God. In particular, his concept of God makes us recognize the mutual relation between God and the world and importance of dynamic creation in divine life.
    Whitehead criticized some concepts of God applied to Western traditional Christianity in history. Those concepts are God as an aboriginal, eminently real, transcendent creator, an imperial ruler, a personification of moral energy, the unmoved mover, and an ultimate philosophical principle. These concepts of God are far away from Christianity of the Galilean origin.
    Therefore, whitehead attempts to provide a new concept of God, analyzing various concepts of God in the history of world religions.
    In this article, the author first explores a general scheme of process cosmology which is a foundation of process philo sophy and then studies Whitehead’s panentheism with a special attention. In conclusion, the author examines how this study influences the mak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and finally sugges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ome tasks for the further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