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Discourse, Figure: 에이젠슈테인의 영화론과 몽타주 (Discourse, Figure: Sergei Eisenstein’s Film Theory and Montag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9
28P 미리보기
Discourse, Figure: 에이젠슈테인의 영화론과 몽타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슬라브硏究 / 35권 / 3호 / 57 ~ 84페이지
    · 저자명 : 이지연

    초록

    에이젠슈테인의 초기 분석적, 논리적 몽타주 이론은 그의 후기 저작으로 옮겨가면서 보다 종합적인 경향으로 이행해 갔다고 설명된다. 그리고 에이젠슈테인의 이러한 변화는 때로 20세기 초 러시아 문화 전반에서 관찰되는 아방가르드 정신의 단절이나 형식주의의 패배, 나아가 예술가들의 변절이나 전향 등의 틀에서 설명되기도 하였다. “팍투라(Фактура)로부터 팍토그라피(Фактография)로”의 이행이라는 명제가 말해주듯 해체적이고 분석적이며 탈재현적이었고 질료의 물성 그 자체를 적극적으로 드러냈던 러시아 아방가르드는 1920년대 후반 이미 “사실의 문학”으로, 리얼리즘 예술로 선회하며 결국 형식 그 자체의 미학 대신 총체적 역사로, 내러티브로 수렴되는 거대한 유기적 서사시의 세계를 향해 나아갔다는 것이다. 엘 리시츠키나 로드첸코의 포토몽타주 역시 이들의 순응의 방법이었거나 설령 그것이 의식적이지 않더라도 1930년대 소련이라는 물질적 조건 가운데에서 채택된 그 시대의 예술형식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에이젠슈테인이 1930대 후반부터 1940년대에 걸쳐 썼던 많은 글에서 드러나는 그의 유기적 예술론은 이러한 서사적 지향과 거리를 두고 있으며 또한 단절과 해체에 기반했던 그의 초기부터의 몽타주 이론 없이 이해될 수 없다. 오히려 회화와 건축 등에 대한 그의 글들은 에이젠슈테인이 끝까지 견지했던 영화라는 장르의 고유성과 그 이상에 대한 믿음을 드러낸다. 말레비치의 절대주의가 리시츠키의 프로운 회화로, 나아가 그의 범기하학으로, 포토몽타주로 이행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에이젠슈테인의 영화론은 파편화된 세계들의 움직임 자체에 대한 역동적인 재현으로, 관객들의 시선을 통한 새로운 구축으로, 그리고 이를 통한 새로운 프로파간다의 발견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 글에서는 에이젠슈테인의 회화론과 건축론, 영화의 소리와 색채에 대한 에세이들을 통해 그가 러시아 아방가르드 및 형식주의 영화이론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고유한 영화언어를 만들어 가는 과정과 그에 내재한 구축에의 지향을 고찰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sits Sergei Eisenstein’s montage theory in the context of Russian Avant-garde aesthetic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Eisenstein's speculations on paintings and architecture. Through the analysis of his writings on the works of El Greco, V. Serov, and J. B. Piranesi will be discussed the specificity of Eisenstein’s theory of cinematic representation. He saw substantial continuity between painting and cinema and thought cinema as “the contemporary phase of painting.” In this paper all these issues are explained as a process toward the invention of cinematic language, on which Russian formalists also concentrated. Eisenstein related the multiperspectiveness in a painting with the aesthetics and functions of architecture and further developed it to the cognitive activity of audience who can move and synthesize the fragmented pictures into a total representation. The key concepts in Eisenstein’s late theoretical works such as pathos, ecstasis and synesthesia also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his interest in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the unrepresentable and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ussian Avant-garde aesthetics and its revolutionary orientation, its passion for the “costruction’, which never faded away even in his last cinematic experi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