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丁若鏞 회화의 傳神論 연구 (Study in Tasan Chŏng Yakyong's on Ar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04
33P 미리보기
丁若鏞 회화의 傳神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18호 / 111 ~ 143페이지
    · 저자명 : 김찬호

    초록

    丁若鏞의 회화인식은 사회개혁가로서의 정약용의 위치와 역할, 그리고 그 주변 당파간의 원시유학의 원형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시각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아야 진면목을 헤아릴 수 있다.
    그래서 정약용의 핍진사상은 신형묘합의 중용적 문예인식에 기반한 그의 회화관에 깊숙이 투영되어 있다. 정약용의 회화인식은 위진 이전의 사실적 그림에 기반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개지의 전신론에 있다는 것이다.
    정약용은 逼眞形似的 측면을 통해 寫意的 측면을 제대로 담아내어 神形妙合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寫意畵를 그린다는 구실로 삼아 形似를 무시하는 문인들의 창작활동에 대해 비판하고 있는데서 알 수 있다. 繪畵는 書藝에 비해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세계는 물론 실체적 사실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行爲藝術이다. 이런 점에서 정약용의 회화관은 以實得眞에 기초한 形似를 통한 寫意畵를 추구한 신형묘합의 美學精神을 드러내고 있다.
    정약용의 신형묘합의 문예인식이 그의 회화관에 일관적으로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정약용의 회화세계는 形似지향이 아니고, 그렇다고 寫意에 치우치지도 않는 神形妙合의 中庸的 審美認識을 보여준다. 그 이는 象人貌物의 傳神觀이 자리하고 있다. 조선후기, 근대사회로의 移行期에서 丁若鏞은 神形妙合의 中庸的 審美認識을 토대로 本源儒學의 전통적 이상과 새로운 세계의 가능성을 書畵世界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약용은 神중심적 심미인식에 의해 억압되어 왔던 것들을 복권시키고, 形중심적 심미인식에 의해 은폐되어 있는 것들을 드러내며, 그동안의 심미활동에 알려지지 않은 것들을 창안해 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정약용의 神形妙合의 심미인식은 진취적인 미적세계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정약용은 마음을 그림에 구현할 수 있었다. 실제로 逼眞形似的 측면을 통해 寫意的 측면을 제대로 담아내어 神形妙合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寫意畵를 그린다는 구실로 삼아 形似를 무시하는 문인들의 창작활동에 대해 비판하고 있는데서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asan Chŏng Yakyong's view of calligraphy and art showed the aesthetic awareness of the middle way that was neither just pursuing Hyeongsa (形似: representation) nor leaning toward Saŭi (寫意: creative intention). His view superbly combined the spirits and forms. In the late-Chosŏn period that was in transition toward the modern era, Chŏng Yakyong tried to contain both the traditional ideal of original Confucianism and the possibility of the new way.
    To understand this aspect of Chŏng Yakyong, one has to illuminate the broad sensitive leanings of him that dynamically operated in the back of his Confucius philosophy summarized as 'Kyeongsech'iyong (經世致用)'. To reveal his thoughts through this field of arts and senses seems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his inner world deeply. In spite of this importance of his aesthetic theory of calligraphy and art, there have been not much works except on his literature theory.
    The characteristic of Chŏng Yakyong's views on calligraphy and art would reveal its true shape when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various artistic trends and philosophical contexts since the 18th century. It analyzes his inheritance and overcome of the Namin school that had influence on the directions of his calligraphic and artistic theory and considers the literary and artistic trends of the 18th and 19th century. By doing that it placed his thoughts in the intellectual context of the time and his views on calligraphy and art clearly emerged.
    One can see this from Chŏng Yakyong's artistic leanings. In Sanchŏngachipuch'aun (山亭雅集又次韻), written by him at his age of 68 (1829), he wrote "I gave up to become the Samchŏl (三絶: master) of poetry, calligraphy, and art because I had no talents." Though here he deplored modestly that he could not become the master of poetry, calligraphy, and art, it rather showed the essential values that he put on poetry, calligraphy and art. His words in Kiyeron (技藝論) that says "how we could have a new artistic world if we ignore every calligraphers since Wang Xizhi (王羲之), by only celebrating his as the best" showed his universal relativism. His artistic leanings can be confirmed also by that he composed numerous poems of about 2,500 throughout his life.
    Through this, it shows that Chŏng Yakyong was a superb artist as well as a philosopher. He sharply criticized the works of the previous calligraphers with his deep understanding and discernment on calligraphy and art and presented a new way and virtues needed for calligraphy and art. He thus left a big footprint in the history of the late Chosŏn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