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체제 시기 최재서의 ‘국민문학론’ (Ch’oe Chae-sŏ’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New Order Perio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0.09
29P 미리보기
신체제 시기 최재서의 ‘국민문학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3권 / 3호 / 259 ~ 287페이지
    · 저자명 : 이혜진

    초록

    이 논문은 한국근대비평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자 했던 최재서의 학문적ㆍ실천적 행보를 통해 ‘신체제’ 시기에 이르러 그가 ‘국민문학’ 이론에까지 도달했던 과정을 보다 면밀하게 관찰해볼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그 과정으로서 우선 경성제대 영문학과 시절, 영국 낭만주의 사조를 연구한 행적을 통해 당시 조선의 상황을 ‘일본의 아일랜드’로 치환함으로써 모종의 구원을 모색하려 했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또한 파리 함락과 징병제 실시를 계기로 하여 문화주의에서 국가주의로 완전한 방향전환을 함으로써 ‘국민문학’ 이론가를 자처하지만 실제로 그가 이름 붙일 만한 문학정신은 전무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까지 포기할 수 없었던 ‘조선적인 것’의 선험성에 대해 일본 측과 첨예하게 대립했던, 은폐된 갈등과 모순의 경로를 되짚어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친일이라는 혐의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친일이라는 문자가 환기하는 강력함에 떠밀려진 파국의 잔해들에 대해 되돌아보는 작업은 바로 지금부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aims to closely examine Ch’oe Chae-sŏ’s scholarly and practical trajectory in order to explain how he came to reach hi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New Order Period”. The essay argues that during his studies of British Romanticist thought in the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of Kyŏngsŏng Imperial University, Ch’oe sought to find a potential for redemption by positioning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Chosŏn as that of “Japan’s Ireland”. Also, the essay points out that, although the Fall of Paris and the start of war conscription led to his change in direction from culturalism to nationalism and from then on, he claimed himself as a theorist of “national literature”, in actuality, there was no real literary thought with which he could identify. In addition, the essay traces back Ch’oe’s path of hidden struggles and contradictions, where he continually clashed with the side of Japan regarding the undeniable a priority of “Koreanness”. Of course, such series of events cannot be easily separated out from accusations of pro-Japanes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essay asserts that it is now time to retrace the remains of the disintegration scattered away by the force of the phrase “pro-Japane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