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존재론적 차이와 존재론적 분리: 정신분석의 시차(視差)로 본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의 존재이해 (Ontological Difference and Ontological Separation: Heidegger’s and Levinas’ Comprehensions of Being, Compared from the Psychoanalytical Parallax View)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6
33P 미리보기
존재론적 차이와 존재론적 분리: 정신분석의 시차(視差)로 본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의 존재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학과 현대철학 / 73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김상록

    초록

    본 논문은 초기 레비나스가 하이데거와 벌인 존재론적 논쟁의 쟁점과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 논쟁은, 무엇보다 인간의 근원적인 존재론적 정황성에 대한 두 가지 이해 사이의 대립으로서, <존재론적 차이(하이데거) 대 존재론적 분리(레비나스)의 대립>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 점에 주목한 기존의 연구성과들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대체로 어떤 공통된 한계를 노정하고있다. 이는 <문제의 존재론적 정황성이 연출되는 구체적인 장면을 그들이 추체험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서 기인한다. 그런 한계를 극복하게 해 줄 단초를 우리는 정신분석에서 발견한다. 왜냐하면 존재론적 정황성의 문제를 두고 정신분석은 하이데거에 맞서 레비나스와 공동 전선을 형성하고 있음이 밝혀지기 때문이다. 이 공동 전선의 지형도를 그려보면, 하이데거에 대한 레비나스 사유의 향배(向背)를 결정지은 문제의 구체적 장면을 목도하는 추체험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드러나는 바, 존재론적 차이는 <아이의 심정을 망각한 어른의 철학>이자<노예의 처지에 무심한 주인의 철학>이다. 하이데거의 이러한 이중적 무경험(無經驗)을 반영하는 한에서, 존재론적 차이는 <힘의 철학>이다. 이에 상응하여존재론적 차이는 철학적 차원에서 이중적 한계를 가진다. 그것은 존재 <일반> 에 대한 기초 접근로가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존재 일반을 배경으로 도래하는 <존재자의 성립>을 해명할 수 없다. 반면 레비나스의 존재론적 분리는 이이중적 한계를 극복하는 존재론적 성찰을 제시한다. 이로부터 존재론적 차이는존재론적 분리를 전제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tries to reveal the issue and the signification of Levinas’ ontological dispute with Heidegger. This can be resumed as the confrontation between ontological difference (Heidegger) and ontological separation (Levinas), understood above all as that between two comprehensions on human primordial ontological situation. There are many studies on this theme, but most of theses nevertheless expose an common limit: that of having not reenacted the concrete mise en scene of the ontological situation in question.
    It is in the psychoanalysis that I find the clue for this mise en scene. Because,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ontological situation, the psychoanalysis is revealed to form a common frontline with Levinas against Heidegger. To map this frontline enables us to witness the concrete scene which defines Levinas’ attitude toward Heidegger. Thus the ontological difference turns out to be the philosophy of an adult having forgotten his own infancy, as well as the philosophy of the master indifferent to his slaves. It is the philosophy of the power in so far as it reflects this double non-experience of Heidegger’s. In accordance to this, it has a double limit in its philosophical level: it cannot not only offer a fundamental approach to the being in general, but also take account for the position of a being emerging from the being in general. Whereas Levinas with his ontological separation proposes a different ontology permitting to overcome Heidegger’s flaws. It results from this that the ontological difference presupposes the ontological sepa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학과 현대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