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바야시 요시노리(小林よしのり) 만화 『 전쟁론』 (戦争論)의 설득력-현대 일본 대중문화 속 우익사상- (Persuasive Power of Cartoon of Yoshinori Kobayashi, 『 The War』-Right-wing Ideology in Contemporary Japanese Popular Cultur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03
26P 미리보기
고바야시 요시노리(小林よしのり) 만화 『 전쟁론』 (戦争論)의 설득력-현대 일본 대중문화 속 우익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33권 / 279 ~ 304페이지
    · 저자명 : 표세만

    초록

    현대 일본사회의 우경화를 이해할 때, 고바야시 요시노리의 만화『 전쟁론』은 많은 점을 시사해 준다. 1990년대 중후반 이후 전쟁의 필연성과 군대 보유의 당위성을 주장한 고바야시의 만화가 2000년대 들어 새롭게 등장한 20, 30대 젊은이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더욱 유효한 자료라 하겠다. 고바야시는 기존의 대중매체 대신에 청소년에게 익숙한 만화를 이용하여 일본 제국주의 침략전쟁의 정치적, 역사적 문맥을 지워버린다. 그 대신에 ‘조부’의 전쟁 참여가 가족을 위한 개별적 희생임을 강조하면서 인정에 호소하였고, 전쟁에서의 말초적 장면만을 극도로 과장함으로써 편향된 대외 적대의식을 주입시킨다. 또한 그는 만화를 통해 대중들의 지식사회 및 주류 언론에 대한 비판적 감성을 조장하는 한편, 편견으로 흐르기 쉬운 대중의 즉물적 감수성을 이용하여 인권이나 자유, 반전평화 사상과 같은 전후 민주주의의 이념과 그 교육을 전면적으로 부정한다. 마찬가지로 현대 사회 청소년의 폭력 행위나 비윤리적 행동의 범람에 대해서도 과거 사회적, 문화적 제어 장치였던 전통적 ‘공공성’이 없어졌기 때문에 나타난다고 진단한다. 자율적 개인과 국가 간 연대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 대신에 대중이 쉽게 실감할 수 있는 ‘국가’나 ‘전통’ 차원으로 공공의 개념을 왜곡시킨 것이다. 이러한 요소가 대중들이『전쟁론』을 쉽게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는데 이는 다른 한편으로 일본 사회를 전체주의, 군국주의로 이끌 우려가 있다. 따라서 1945년 이후 일본사회가 견지해 왔던 개인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새롭게 정립하여, 헌법 개정 등을 통한 전쟁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Whenever you want to understand the japanese extreme right-wing political ideology, cartoon of Yoshinori Kobayashi, 『 The War』 gives many implications. After the middle of 1990’s, Justification about the necessity of war and the military in cartoon of Yoshinori Kobayashi claimed to 20, 30 young people. Kobayashi erases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meaning of imperialism invasion by easily accessed media, cartoon.
    On the other hand, cartoon of Yoshinori Kobayashi, 『 The War』has a possibility that led to militarism or the totalitarian society in Japan. By all means, Japanese society must re-establish the positive value of the individual and democracy having been appreciated ever since 1945, eventually, opposition to the possibility of war are urgently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