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陸賈의 人性論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of Luji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12
22P 미리보기
陸賈의 人性論에 관한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28호 / 217 ~ 238페이지
    · 저자명 : 조원일

    초록

    중국 서한시기의 유학자인 육가는 인간의 성정은 본래 선한 것이지만 외부 세계의 유혹을 받아서 음란하고 사악한 욕망이 생기게 되어 겉모습이 아름다운 것에 성정이 미혹되어 내면의 실정과 선한 본성을 상실하게 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군자나 현자는 서로를 의로써 격려하고 선한 본성을 상실하지 않도록 다독여 주지만, 소인이나 어리석은 사람은 쾌락에 빠져 선한 본성을 상실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육가는 이익은 인의의 도가 드러나지 못하게 만드는 주요한 원인이라고 했으며, 또한 사람의 성정에 악한 요소가 생기게 만드는 외재적인 요인이기도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인간의 성정은 이익에 현혹되어 인의仁義를 버리고 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육가는 마땅히 “만유의 성정을 다스려 인의가 드러나게 한다.”라고 하는 주장을 했던 것이다.
    또한 육가는 본성으로써 선을 삼은 것 외에 “사람의 성정에 근원한 근본의 확립”이 천지에 근원하고 인도人道에 합치되며 아울러 천도와 서로 합쳐지게 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렇기 때문에 육가는 사람의 성정이 인의仁義 도에 부합되는 것이며 성정 역시 선한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Confucian scholar Lujia(陸賈) in the Western Han Dynasty period in China thought that human natures are originally good but humans become to develop obscene and evil desires as tempted by the external world to be infatuated by beautiful appearances and lose the good nature. He argued that, therefore, although noble men or wise men encourage each other with justice and comfort each other not to lose the good nature, petty persons or foolish persons indulge in pleasure and become to lose the good nature. In addition, Lujia said that interests are a major cause that prevents the way of humanity and justice from becoming apparent and also an extrinsic factor that triggers the development of evil elements in human natures. Since human natures can be seduced by interests to abandon humanity and justice and conduct evil as such, Lujia argued that humans “should control all natures to reveal humanity and justice.” In addition to regarding that human natures are good, Lujia mention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s based on human natures” is based on the heaven and the earth, conforms to humanitarianism, and combines with the way of Heaven. He thought that therefore, human natures conform to humanity and justice and are g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후